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med:episiotomy [2015/02/10 01:37] – V_L | med:episiotomy [2017/07/21 17:06] (현재) – [방법] V_L | ||
|---|---|---|---|
| 줄 1: | 줄 1: | ||
| + | {{tag> | ||
| ======회음절개 (Episiotomy)====== | ======회음절개 (Episiotomy)====== | ||
| - | {{page>틀:의학}} | + | {{page>:틀#의학}} |
| - | {{page>틀: | + | {{page>:틀#성적건강}} |
| 줄 21: | 줄 22: | ||
| 애가 나오기 직전에는 크라우닝(Crowning; | 애가 나오기 직전에는 크라우닝(Crowning; | ||
| 머리가 회음부 바깥쪽을 왕관처럼 밀어올리게 된다. | 머리가 회음부 바깥쪽을 왕관처럼 밀어올리게 된다. | ||
| - | + | ||
| - | {{http:// | + | |
| - | {{http:// | + | |
| 이때 | 이때 | ||
| 산모의 질 입구에 국소마취제를 투입하고 회음 절개를 시행한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정중앙 방법과 중앙외측 방법이다. | 산모의 질 입구에 국소마취제를 투입하고 회음 절개를 시행한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정중앙 방법과 중앙외측 방법이다. | ||
| * 중앙외측 방법은 질부터 항문을 잇는 가상의 선보다 외측으로 절개하는 방법으로, | * 중앙외측 방법은 질부터 항문을 잇는 가상의 선보다 외측으로 절개하는 방법으로, | ||
| - | * 정중앙 방법은 항문쪽을 향해 절개한다. 이 방법은 본래의 해부학적 구조에 적합하게 절개하는 방법이라서 출혈이 적고, 봉합이 용이하며, | + | * 정중앙 방법은 항문쪽을 향해 절개한다. 이 방법은 본래의 해부학적 구조에 적합하게 절개하는 방법이라서 출혈이 적고, 봉합이 용이하며, |
| 줄 35: | 줄 33: | ||
| {{: | {{: | ||
| - | {{http:// | + | |
| =====나라별 빈도===== | =====나라별 빈도===== | ||
| 줄 95: | 줄 92: | ||
| * 좌욕으로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심한 치질이 있을 때 | * 좌욕으로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심한 치질이 있을 때 | ||
| - | {{ta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