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med:ectopic_pregnancy [2018/03/08 02:06] – [Single dose] V_L | med:ectopic_pregnancy [2025/09/25 07:14] (현재) – V_L | ||
|---|---|---|---|
| 줄 4: | 줄 4: | ||
| {{page>: | {{page>: | ||
| ======자궁외임신 (Ectopic Pregnancy)====== | ======자궁외임신 (Ectopic Pregnancy)====== | ||
| - | |||
| - | |||
| 자궁 외 임신은 정상적으로 자궁 체부 안에 임신이 되어야 하는 데 자궁 체부 안이 아닌 다른 부위(난관, | 자궁 외 임신은 정상적으로 자궁 체부 안에 임신이 되어야 하는 데 자궁 체부 안이 아닌 다른 부위(난관, | ||
| - | 부, 복강, 장간막 등)에 임신이 되는 경우를 말한다. | + | 부, 복강, 장간막 등)에 임신이 되는 경우를 말한다. |
| 1000명당 11.2~18.8명 발생한다.(( https:// | 1000명당 11.2~18.8명 발생한다.(( https:// | ||
| 줄 19: | 줄 17: | ||
| =====호발 부위===== | =====호발 부위===== | ||
| 자궁 외 임신의 대부분은 난관 임신이다. 물론 난소, 자궁경부, | 자궁 외 임신의 대부분은 난관 임신이다. 물론 난소, 자궁경부, | ||
| - | |||
| {{: | {{: | ||
| {{: | {{: | ||
| ===== 진단===== | ===== 진단===== | ||
| - | |||
| - | |||
| * 정상적인 임신이라면 [[hCG]] 1000IU에서 자궁내에 임신낭(G-sac)이 보인다. | * 정상적인 임신이라면 [[hCG]] 1000IU에서 자궁내에 임신낭(G-sac)이 보인다. | ||
| * hCG 1000IU 이상이면서 자궁속에 임신낭이 보이지 않고 부속기에 종괴가 있을 때 진단률은 97~100% | * hCG 1000IU 이상이면서 자궁속에 임신낭이 보이지 않고 부속기에 종괴가 있을 때 진단률은 97~100% | ||
| * 자궁외임신의 62.2%에서 자궁내삼중선(triple line)이 관찰된다. 초기자궁내임신이나 초기자연유산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 * 자궁외임신의 62.2%에서 자궁내삼중선(triple line)이 관찰된다. 초기자궁내임신이나 초기자연유산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 ||
| - | |||
| - | |||
| 임신 5주가 되면 [[HCG]]가 약 1000-1500 mIU 되고 임신낭이 6-10mm 정도 된다. | 임신 5주가 되면 [[HCG]]가 약 1000-1500 mIU 되고 임신낭이 6-10mm 정도 된다. | ||
| - | |||
| - | |||
| {{: | {{: | ||
| - | |||
| =====치료===== | =====치료===== | ||
| - | 주 치료는 수술적인 치료이다. 난관임신인 경우는 한쪽 난관을 제거하거나 임신조직만을 제거하기도 한다. 응급인 경우 개복수술을 통해 이루어지나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이 일반적이다. | + | 주 치료는 수술적인 치료이다. 난관임신인 경우는 한쪽 난관을 제거하거나 임신조직만을 제거하기도 한다. 응급인 경우 개복수술을 통해 이루어지나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이 일반적이다. |
| - | + | ||
| - | hCG levels may be monitored by a physician until the hormone level falls to undetectable levels. | + | ====약물치료==== |
| - | + | Methotrexate (MTX) 라는 항암제를 | |
| - | + | ||
| - | + | ||
| - | + | ||
| - | ====MTX==== | + | |
| - | + | ||
| - | MTX라는 항암제를 | + | |
| * [[hCG|]] 가 5,000 이하. | * [[hCG|]] 가 5,000 이하. | ||
| 줄 63: | 줄 46: | ||
| ===검사=== | ===검사=== | ||
| * Serum quantitative hCG level | * Serum quantitative hCG level | ||
| - | * Serum creatinine, SGOT, CBC, Blood type/Rh status | + | * Serum creatinine, SGOT, CBC, |
| ===Multidose=== | ===Multidose=== | ||
| * MTX **1.0mg/ | * MTX **1.0mg/ | ||
| * hcg를 측정하여 48시간 이내에 15% 이상 감소할때까지 \\ 혹은 4회 투여 | * hcg를 측정하여 48시간 이내에 15% 이상 감소할때까지 \\ 혹은 4회 투여 | ||
| - | |||
| ===Single dose=== | ===Single dose=== | ||
| 줄 76: | 줄 58: | ||
| [[엽산]], 비타민 등을 먹지 않도록하고, | [[엽산]], 비타민 등을 먹지 않도록하고, | ||
| - | Methotrexate (50 mg/ | ||
| - | 보통 1병에 50mg/2cc 이므로 대개 | + | > Methotrexate (50 mg/m< |
| - | * 50 mg/ | + | |
| + | {{: | ||
| - | {{: | ||
| - | BSA: m< | + | BSA: m< |
| + | * 162cm, 50kg -> BSA 1.5 (MTX 75mg, 3cc) | ||
| + | * 153cm, 74kg -> BSA 1.7 (MTX 85mg, 3.4cc) | ||
| + | * 167cm, 72kg -> BSA 1.8 (MTX 90mg, 3.6cc) | ||
| + | * 158cm, 75kg -> BSA 1.8 (MTX 90mg, 3.6cc) | ||
| + | |||
| + | 보통 1병에 50mg/2cc 이므로 대개 2개가 필요하게 된다. 한 주사부위에 2cc 이상 주사하지 않는다. | ||
| + | |||
| + | * ([[Body_surface_area]] * 50 ) | ||
| 줄 91: | 줄 80: | ||
| * β-HCG | * β-HCG | ||
| * 간기능수치 -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or serum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 [SGOT]) /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or serum glutamic-pyruvic transaminase [SGPT]) | * 간기능수치 -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or serum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 [SGOT]) /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or serum glutamic-pyruvic transaminase [SGPT]) | ||
| - | * Blood urea nitrogen | + | * BUN(Blood urea nitrogen) / Creatinine |
| + | * 혈액형 (ABO / [[med: | ||
| ==Day 4== | ==Day 4== | ||
| - | The patient returns for measurement of her β-HCG | + | β-HCG |
| ==Day 7== | ==Day 7== | ||
| - | Draw β-HCG and AST levels and perform a complete blood count (CBC). | + | β-HCG and AST levels and perform a complete blood count (CBC). |
| + | |||
| + | β-HCG | ||
| + | β-HCG가 <5 이하가 될 때까지 매주 | ||
| - | If the β-HCG level has not dropped at least 15% from the day-4 level, administer a second IM dose of methotrexate (50 mg/m2) on day 7, and observe the patient similarly. If no drop has occurred by day 14, surgical therapy is indicated. | + | 7일째에 |
| ====부작용==== | ====부작용==== | ||
| 줄 107: | 줄 100: | ||
| * 구강 궤양(치료 후 3-7일) | * 구강 궤양(치료 후 3-7일) | ||
| * 식욕부진 | * 식욕부진 | ||
| - | * 혈구 수 감소(골수억제): | + | * 혈구 수 감소(골수억제): |
| * 발현시기: | * 발현시기: | ||
| * 최저치 도달: 10일 | * 최저치 도달: 10일 | ||
| * 회복: 21일 | * 회복: 21일 | ||
| - | 다음의 부작용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10-29%의 환자에서 발생) | + | 다음의 부작용도 발생할 수 있다.(10-29%의 환자에서 발생) |
| - | * 신장 독성: 주로 고용량 투여시 발생(수액을 미리 투여할 수 있습니다) | + | * 신장 독성: 주로 고용량 투여시 발생(수액을 미리 투여할 수 있다) |
| * 피부 발진, 피부 발적(고용량) | * 피부 발진, 피부 발적(고용량) | ||
| * 설사 | * 설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