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med:ddt [2022/12/04 05:58] – 만듦 V_L | med:ddt [2022/12/04 06:04] (현재) – V_L | ||
---|---|---|---|
줄 1: | 줄 1: | ||
{{tag> | {{tag> | ||
{{page>: | {{page>: | ||
- | ====== | + | ====== |
- | + | | |
/* 요기에 본문을 적으시와용 */ | /* 요기에 본문을 적으시와용 */ | ||
줄 8: | 줄 9: | ||
DDT에 살충 효과가 있음에 밝혀질 당시에는 그냥 획기적인 살충제 정도로 알려졌다. 살충효과도 좋았는데다다 오래 가는 지속성도 좋았기 때문이다. 이 지속성은 나중에 해로움이 알려진 뒤에는 오히려 큰 문제점이 되었다. | DDT에 살충 효과가 있음에 밝혀질 당시에는 그냥 획기적인 살충제 정도로 알려졌다. 살충효과도 좋았는데다다 오래 가는 지속성도 좋았기 때문이다. 이 지속성은 나중에 해로움이 알려진 뒤에는 오히려 큰 문제점이 되었다. | ||
+ | =====위험성===== | ||
+ | |||
+ | 동물 체내의 지방과 결합해서 점점 축적된다. | ||
+ | |||
+ | |||
+ | =====퇴출===== | ||
+ | |||
+ | DDT가 살충제로써 사용되기 시작한 이후, 암탉의 산란율이 감소하는 등 가축에게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으며, | ||
+ | |||
+ | 1945년에 나온 한 논문( Case, R. A. M. (1945). Toxic effects of DDT in man. British medical journal, 2(4432), 842.)은 DDT가 인간에게 확실히 유해하다는 결과를 내었는데, | ||
+ | |||
+ | 1962년에 레이철 카슨이 쓴 '' | ||
+ | |||
+ | 싼가격 때문에 저개발국에서 말라리아 퇴치에 널리 사용되던 DDT가 국제적인 지탄을 받아 사라지자, | ||
+ | |||
+ | 대한민국에서 1979년 이후 사용이 완전히 금지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