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med:breast_cancer [2024/04/30 02:50] – [위험인자] 172.70.222.116 | med:breast_cancer [2025/10/23 03:33] (현재) – [유방암 (Breast Cancer)] V_L | ||
|---|---|---|---|
| 줄 18: | 줄 18: | ||
| 유방암 수술방법 추이는 유방부분절제술이 지속적으로 60%이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2019년에는 68.6%의 환자가 유방부분절제술을 받았으며, | 유방암 수술방법 추이는 유방부분절제술이 지속적으로 60%이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2019년에는 68.6%의 환자가 유방부분절제술을 받았으며, | ||
| + | |||
| + | 2022년 발생률 (확진 환자 수)는 35-64세 여성 10만 명당 188.4명이 2022년 한 해 동안 새로 유방암 진단을 받았다. (국가암정보센터, | ||
| + | |||
| + | |||
| + | | 연도 | ||
| + | | 2002 | — | 46.1명 | ||
| + | | 2019 | 115.6명 | ||
| + | | 2021 | 134.5명 | ||
| + | |||
| + | |||
| + | |||
| ===== 원인 ===== | ===== 원인 ===== | ||
| 줄 43: | 줄 54: | ||
| ===변경할 수 있는 위험 요인=== | ===변경할 수 있는 위험 요인=== | ||
| * [[: | * [[: | ||
| - | * [[med: | + | * [[med: |
| * 호르몬 복용. 폐경 시간 동안 사용되는 일부 호르몬 대체 요법(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모두 포함하는 것)은 5년 이상 복용할 경우 유방암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특정 경구 피임약(피임약)도 유방암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 호르몬 복용. 폐경 시간 동안 사용되는 일부 호르몬 대체 요법(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모두 포함하는 것)은 5년 이상 복용할 경우 유방암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특정 경구 피임약(피임약)도 유방암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
| * 생식력 역사. 30세 이후 첫 임신, 모유 수유를 하지 않고 완전한 임신 경험이 없는 경우 유방암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 생식력 역사. 30세 이후 첫 임신, 모유 수유를 하지 않고 완전한 임신 경험이 없는 경우 유방암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
| 줄 73: | 줄 84: | ||
| * 대부분의 유방암은 40세 이후의 여성에서 발견되며 연령이 증가하면서 빈도도 높아진다. 또 자녀가 없거나 자녀를 적게 둔 경우, 늦게 첫 자녀를 둔 경우(30세 이후) 그리고 수유를 하지 않은 여성에서 유방암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 * 대부분의 유방암은 40세 이후의 여성에서 발견되며 연령이 증가하면서 빈도도 높아진다. 또 자녀가 없거나 자녀를 적게 둔 경우, 늦게 첫 자녀를 둔 경우(30세 이후) 그리고 수유를 하지 않은 여성에서 유방암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 ||
| * 비만은 유방암 발생의 주요 위험요인 중 하나이다. 특히 폐경 후 여성의 비만은 유방암 발생 위험을 높이다. | * 비만은 유방암 발생의 주요 위험요인 중 하나이다. 특히 폐경 후 여성의 비만은 유방암 발생 위험을 높이다. | ||
| + | |||
| + | 유방암의 BRCA 및 HER2는 질병의 특성과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임. | ||
| + | |||
| + | |||
| + | - 유방암은 BRCA 및 HER2 상태뿐만 아니라 에스트로겐 수용체(ER), | ||
| + | - 의료진과 상담 후 적절한 치료 방법(수술, | ||
| ==== BRCA ==== | ==== BRCA ==== | ||
| 줄 90: | 줄 107: | ||
| 예방적 유방절제술은 유방암 발생의 빈도를 낮출 뿐, 사망률을 낮추었다는 증거가 없기 때문이다. 반면, 예방적 난소절제술의 경우에는 난소암의 발생률뿐 아니라 사망률 또한 낮추었다고 보고되어서 BRCA 보인자라면 적극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물론 이 경우도 난소의 영구적인 제거에 따른 조기폐경 및 폐경 후 증후군, 골다공증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처럼 돌연변이 검사나 돌연변이 보인자의 예방 및 치료는 개별적인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자세한 전문가에 의한 상담을 통하여 결정해야 한다. | 예방적 유방절제술은 유방암 발생의 빈도를 낮출 뿐, 사망률을 낮추었다는 증거가 없기 때문이다. 반면, 예방적 난소절제술의 경우에는 난소암의 발생률뿐 아니라 사망률 또한 낮추었다고 보고되어서 BRCA 보인자라면 적극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물론 이 경우도 난소의 영구적인 제거에 따른 조기폐경 및 폐경 후 증후군, 골다공증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처럼 돌연변이 검사나 돌연변이 보인자의 예방 및 치료는 개별적인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자세한 전문가에 의한 상담을 통하여 결정해야 한다. | ||
| + | |||
| + | |||
| + | BRCA1과 BRCA2 유전자는 유방암과 난소암의 발병 위험을 높이는 유전자임. | ||
| + | |||
| + | **BRCA 변이**가 있는 경우: | ||
| + | - 유전적 요인으로 유방암이나 난소암 발병 위험이 증가함. | ||
| + | - 유전자 검사를 통해 BRCA 변이를 확인할 수 있다. | ||
| + | - 예방적 조치로 정기검진, | ||
| + | - 특정 치료제, 특히 **PARP 억제제(예: | ||
| + | |||
| + | ==== HER2==== | ||
| + | - HER2는 유방암 세포 표면의 단백질로, | ||
| + | - **HER2 양성(Positive)**: | ||
| + | - 암이 더 공격적일 가능성이 큽니다. | ||
| + | - 표적치료제(예: | ||
| + | - **HER2 음성(Negative)**: | ||
| + | - 표적치료제 대신 일반적인 항암화학요법이 주로 사용된다. | ||
| + | |||
| + | |||
| + | | ||
| ===== 종류 ===== | ===== 종류 ===== | ||
| 줄 175: | 줄 212: | ||
| * 염증성유방암 :이 형태의 유방암은 위에서 열거한 병기의 분류에는 부합하지 않는다. 유방 전체가 빨갛게 변하고 열감이 수반되는 형태의 병으로, 진행이 빠르며 다루기 힘든 유형이다. | * 염증성유방암 :이 형태의 유방암은 위에서 열거한 병기의 분류에는 부합하지 않는다. 유방 전체가 빨갛게 변하고 열감이 수반되는 형태의 병으로, 진행이 빠르며 다루기 힘든 유형이다. | ||
| + | {{: | ||
| ===== 치료 ===== | ===== 치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