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med:albumin [2024/06/13 04:29] – created V_Lmed:albumin [2024/06/13 04:29] (현재) V_L
줄 1: 줄 1:
 {{tag>albumin}} {{tag>albumin}}
 {{page>:틀#의학}} {{page>:틀#의학}}
-====== Albumin ======+====== 단백질, 알부민, 글로불린 ======
    
-액검사수치 중 혈중 단백질, 알부민, 글로불린, 알부민과 글로불린 비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혈청 총단백 (Total protein)=====
  
-1. 혈청 총단백 (Total protein)  +참고치 6.3~8.3g/dl
- +
-참고치 6.3~8.3g/dl +
  
  
  
-전체 혈액의 약 55% 를  차지하는 혈장 중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양을 나타냅니다. +전체 혈액의 약 55% 를  차지하는 혈장 중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양을 나타냅니다.
  
-대부분이 알부민과 글로불린으로 이루어져 있고,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단백질 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이 알부민과 글로불린으로 이루어져 있고,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단백질 이 포함되어 있다.
  
  
  
-간기능이상이나 신장기능 이상으로 체내에서 생합성 및 대사에 이상이 생기면 혈청단백질의 농도가 변하게 됩니다. +간기능이상이나 신장기능 이상으로 체내에서 생합성 및 대사에 이상이 생기면 혈청단백질의 농도가 변하게 다.
  
-그 자체로 어떤 질환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다른 질환이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라고 할 수 있어요. +그 자체로 어떤 질환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다른 질환이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라고 할 수 있어요.
  
  
  
-▶ 혈청 총 단백의 증가는 +▶ 혈청 총 단백의 증가는
  
-탈수, 즉 혈액중 물의 양이 적어지면 단백수치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같은 동량의 혈액이라도 상대적으로 단백질이 더 많아질 수있습니다.) 고 감마글로불린혈증에서도 혈청 총단백이 증가합니다+탈수, 즉 혈액중 물의 양이 적어지면 단백수치가 올라갈 수 있다. (같은 동량의 혈액이라도 상대적으로 단백질이 더 많아질 수있다.) 고 감마글로불린혈증에서도 혈청 총단백이 증가.
  
  
  
-▶ 혈청 총단백의 감소는 +▶ 혈청 총단백의 감소는
  
-영양이 불량하거나, 심한 간질환으로 단백질의 합성이 잘 되지 않았을때, 신증후군이 있을 때,  +영양이 불량하거나, 심한 간질환으로 단백질의 합성이 잘 되지 않았을때, 신증후군이 있을 때,
- +
-열이나거나 염증이 있을 때, 악성종양이 있을 때, 갑상선기능항진이 있을 때 감소합니다. +
  
 +열이나거나 염증이 있을 때, 악성종양이 있을 때, 갑상선기능항진이 있을 때 감소함.
  
 Blood collection and sample considerations | Immune Sequencing (irepertoire.com) Blood collection and sample considerations | Immune Sequencing (irepertoire.com)
  
 +=====알부민(Albumin)=====
  
-2. 알부민(Albumin) +참고치 : 3.5~5.2g/dl
- +
-참고치 : 3.5~5.2g/dl +
  
  
  
-알부민은 간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입니다+알부민은 간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
  
-물에 잘 녹고, 혈청단백질의 50~60%를 차지 합니다+물에 잘 녹고, 혈청단백질의 50~60%를 차지 .
  
-혈액 내 삼투압을 조절해서 체액의 농도를 유지하고, 혈관 내외의 수분균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혈액 내 삼투압을 조절해서 체액의 농도를 유지하고, 혈관 내외의 수분균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
  
-또한 혈액내에서 호르몬, 비타민, 약물등 다양한 물질을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또한 혈액내에서 호르몬, 비타민, 약물등 다양한 물질을 운반하는 역할을 .
  
  
  
-간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인 만큼, 간 손상에 아주 예민하게 반응합니다+간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인 만큼, 간 손상에 아주 예민하게 반응.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존재하지 않는 이미지.
 Intravenous Albumin for Mitigating Hypotension and Augmenting Ultrafiltration during Kidney Replacement Therapy |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asnjournals.org) Intravenous Albumin for Mitigating Hypotension and Augmenting Ultrafiltration during Kidney Replacement Therapy |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asnjournals.org)
  
-▶ 알부민 수치의 증가는 +▶ 알부민 수치의 증가는
  
-탈수가 있거나, 영양이 과다하여 많이 만들어지거나, 간염을 앓고 회복할 때 올라갑니다. +탈수가 있거나, 영양이 과다하여 많이 만들어지거나, 간염을 앓고 회복할 때 올라다.
  
  
  
-▶ 알부민 수치의 감소는 +▶ 알부민 수치의 감소는
  
-영양이 불량하여 잘 만들어지지 않거나, 중증간질환으로 간에서 합성되지 않거나, 임신, 갑상선기능항진증, 종양, 감염증, 신증후군등으로 나타납니다. +영양이 불량하여 잘 만들어지지 않거나, 중증간질환으로 간에서 합성되지 않거나, 임신, 갑상선기능항진증, 종양, 감염증, 신증후군등으로 나타다.
  
  
  
-3. 글로불린(Globulin)+===== 글로불린(Globulin)=====
  
 참고치: 1.5~4.1g/dl 참고치: 1.5~4.1g/dl
줄 80: 줄 75:
  
  
-알부민과 함께 혈청단백질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요소로, 알부민과 달리 물에 잘 녹지 않는 단순단백질 입니다+알부민과 함께 혈청단백질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요소로, 알부민과 달리 물에 잘 녹지 않는 단순단백질 .
  
-글로불린은 단백질을 이동시키는 역할, 효소, 항체등의 역할을 합니다+글로불린은 단백질을 이동시키는 역할, 효소, 항체등의 역할을 .
  
-글로불린의 종류는 α1, α2, β, γ-글로불린으로 나뉩니다. +글로불린의 종류는 α1, α2, β, γ-글로불린으로 나뉩니다.
  
  
  
-α1, α2- 글로불린은 각기 구조는 약간 다르지만 하는 기능은 같습니다. +α1, α2- 글로불린은 각기 구조는 약간 다르지만 하는 기능은 같다.
  
-호르몬, 콜레스테롤, 구리이온을 혈류를 통해서 운반하고, 효소역할을 합니다.+호르몬, 콜레스테롤, 구리이온을 혈류를 통해서 운반하고, 효소역할을 .
  
  
  
- β-글로불린은 간에서 생성되고 알파글로불린과 비슷한 구조를 가집니다. + β-글로불린은 간에서 생성되고 알파글로불린과 비슷한 구조를 가다.
  
-지방, 호르몬, 콜레스테롤을 혈류를 통해 운반하고, 박테리아, 바이러스, 기생충의 침입이 있을때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돕습니다. +지방, 호르몬, 콜레스테롤을 혈류를 통해 운반하고, 박테리아, 바이러스, 기생충의 침입이 있을때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돕다.
  
  
  
- γ-글로불린은 면역반응이 필요할 때 림프구와 혈장세포에서 만들어집니다.  + γ-글로불린은 면역반응이 필요할 때 림프구와 혈장세포에서 만들어다.
- +
-대부분의 감마글로불린은 면역글로불린(항체)로 알려져 있습니다.  +
- +
-IgM, IgG, IgA등이 있습니다. +
  
 +대부분의 감마글로불린은 면역글로불린(항체)로 알려져 있다.
  
 +IgM, IgG, IgA등이 있다.
  
 Protein Serum Electrophoresis (Total protein, albumin and globulin) – Labpedia.net 글로불린의 분류 Protein Serum Electrophoresis (Total protein, albumin and globulin) – Labpedia.net 글로불린의 분류
  
-▶글로불린 수치의 증가는  +▶글로불린 수치의 증가는
  
-감염증이 있거나, 간질환등이 있을 때 증가합니다+감염증이 있거나, 간질환등이 있을 때 증가.
  
  
  
-3. A/G ratio (알부민/글로불린 비율) +===== A/G ratio (알부민/글로불린 비율)=====
  
 참고치:  1.5~2.5 참고치:  1.5~2.5
줄 122: 줄 115:
  
  
-알부민/글로불린의 비율은 보통은 일정하게 유지 됩니다. +알부민/글로불린의 비율은 보통은 일정하게 유지 다.
  
  
  
-▶A/G ratio 가 감소하는 경우는 (알부민 수치가 떨어지거나, 글로불린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 +▶A/G ratio 가 감소하는 경우는 (알부민 수치가 떨어지거나, 글로불린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
  
-영양실조, 간경변증이 있거나, 악성종양, 염증성 질환이 있으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영양실조, 간경변증이 있거나, 악성종양, 염증성 질환이 있으면 감소할 수 있다.
  
  
줄 134: 줄 127:
 ▶A/G ratio 가 증가하는 경우는 (알부민 수치가 높아지거나, 글로불린 수치가 감소하는 경우) ▶A/G ratio 가 증가하는 경우는 (알부민 수치가 높아지거나, 글로불린 수치가 감소하는 경우)
  
-감마글로불린이 적어지는 경우 증가할 수 있습니다. +감마글로불린이 적어지는 경우 증가할 수 있다. 
 [출처] 혈액검사수치알아보기 총단백(total protein) 알부민(albumin) 글로불린(globulin) A/G ratio 알부민글로불린 비율  을지로다정약국|작성자 다정약사 [출처] 혈액검사수치알아보기 총단백(total protein) 알부민(albumin) 글로불린(globulin) A/G ratio 알부민글로불린 비율  을지로다정약국|작성자 다정약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