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ace_inhibitor [2024/05/21 01:59] – V_L | med:ace_inhibitor [2025/09/27 01:32] (현재) – V_L | ||
---|---|---|---|
줄 1: | 줄 1: | ||
{{tag> | {{tag> | ||
- | ======ACE 억제제 | + | ======ACE 억제제 |
- | ACEI(angiotensin converting enzyme-inhibitor)는 renin-angiotensin system(RAS)에 작용하는 약물로 [[고혈압]]치료에 사용되고, | + | ACEI(angiotensin converting enzyme-inhibitor)는 renin-angiotensin system(RAS)에 작용하는 약물로 [[hypertension]]치료에 사용되고, |
ACEI에 의한 기침은 객담을 생성하지 않는(nonproductive) 마른기침(dry cough)으로 밤에 더욱 심해진다. 남자보다 여자에게 더 많이 나타나고 인종에 따라서 다른 유병율(incidence)을 보인다. 인종간의 유병율의 차이를 ACE 유전자 다형현상(polymorphism)의 인종에 따른 변화로 설명하는 가설들이 있다. 유병율은 연구에 따라 다르게 보고되었는데 최하 0%에서부터 최고 44%까지였다. ACEI에 의한 기침의 발현(onset)시점은 투약후 며칠에서부터 지연되는 경우 6-12개월 후에도 나타날 수 있고 투약을 중단하면 1일에서 4일 내로 사라진다. 특정한 class의 ACEI에만 관계된 것이 아니며, 기침이 발생하여 다른 class의 ACEI로 바꾸어 투여하는 경우에도 다시 기침이 나타난다. ACEI에 의한 기침은 폐의 기능이상에서 유래된 것이 아니며 천식을 가진 환자에서도 기침발생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 ACEI투여용량에 비의존적이라는 보고가 대부분이나 몇몇 연구에서는 용량을 줄이면 기침이 감소했다는 보고가 있다. 이 기침의 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가지 가설이 제기되었다. | ACEI에 의한 기침은 객담을 생성하지 않는(nonproductive) 마른기침(dry cough)으로 밤에 더욱 심해진다. 남자보다 여자에게 더 많이 나타나고 인종에 따라서 다른 유병율(incidence)을 보인다. 인종간의 유병율의 차이를 ACE 유전자 다형현상(polymorphism)의 인종에 따른 변화로 설명하는 가설들이 있다. 유병율은 연구에 따라 다르게 보고되었는데 최하 0%에서부터 최고 44%까지였다. ACEI에 의한 기침의 발현(onset)시점은 투약후 며칠에서부터 지연되는 경우 6-12개월 후에도 나타날 수 있고 투약을 중단하면 1일에서 4일 내로 사라진다. 특정한 class의 ACEI에만 관계된 것이 아니며, 기침이 발생하여 다른 class의 ACEI로 바꾸어 투여하는 경우에도 다시 기침이 나타난다. ACEI에 의한 기침은 폐의 기능이상에서 유래된 것이 아니며 천식을 가진 환자에서도 기침발생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 ACEI투여용량에 비의존적이라는 보고가 대부분이나 몇몇 연구에서는 용량을 줄이면 기침이 감소했다는 보고가 있다. 이 기침의 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가지 가설이 제기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