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med:발목인대손상 [2016/03/21 09:38] – V_L | med:발목인대손상 [2016/07/10 09:5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 줄 1: | 줄 1: | ||
| + | {{tag> | ||
| {{page>: | {{page>: | ||
| 줄 42: | 줄 43: | ||
| ===휴식 (Rest)=== | ===휴식 (Rest)=== | ||
| - 손상 직후 24~48시간동안 염증반응이 지속되므로 과도한 운동은 해서는안 되며, 손상 반대편 다리에 운동을 하면 전이효과 (Cross-Transfer Effect)를 얻을 수 있다. | - 손상 직후 24~48시간동안 염증반응이 지속되므로 과도한 운동은 해서는안 되며, 손상 반대편 다리에 운동을 하면 전이효과 (Cross-Transfer Effect)를 얻을 수 있다. | ||
| - | - 등척성 운동을 초기에 실시하여 근위축을 방지한다. .발을 올려놓고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등장성 운동을 아이싱과 함께 시행한다. | + | - 등척성 운동을 초기에 실시하여 근위축을 방지한다. .발을 올려놓고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등장성 운동을 아이싱과 함께 시행한다. |
| ===냉 치료 (Ice Massage)=== | ===냉 치료 (Ice Massage)=== | ||
| 줄 64: | 줄 65: | ||
| - 등척성 및 등장성 운동은 발목 관절의 네 개 운동면에서 실시한다. | - 등척성 및 등장성 운동은 발목 관절의 네 개 운동면에서 실시한다. | ||
| - 발목의 내.외반 동작의 운동을 시행할 때 경골의 보상적 회전운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각별이 주의한다. | - 발목의 내.외반 동작의 운동을 시행할 때 경골의 보상적 회전운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각별이 주의한다. | ||
| - | - 가벼운 운동으로 횟수를 많이 반복하는 것은 인대와 발목관절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다. | + | - 가벼운 운동으로 횟수를 많이 반복하는 것은 인대와 발목관절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다. |
| ===고유 감각과 신경근육 조절운동=== | ===고유 감각과 신경근육 조절운동=== | ||
| 줄 79: | 줄 80: | ||
| ===정상적인 훈련=== | ===정상적인 훈련=== | ||
| - 손상 전 근력의 최소한 90%이상 이어야 정상 훈련에 복귀할 수 있다. | - 손상 전 근력의 최소한 90%이상 이어야 정상 훈련에 복귀할 수 있다. | ||
| - | - 발목부위의 근력회복이 안 된 상태에서 정상훈련을 실시하면 재발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 + | - 발목부위의 근력회복이 안 된 상태에서 정상훈련을 실시하면 재발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
| - | + | ||
| - | + | ||
| - | {{ta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