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med:메르스 [2015/05/29 18:32] – V_L | med:메르스 [2016/07/10 09:5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 줄 1: | 줄 1: | ||
| - | {{page>틀:속보}} | + | {{tag> |
| - | {{page>틀:의학}} | + | {{page>:틀#속보}} |
| + | {{page>:틀#의학}} | ||
| ====== 중동호흡기증후군 (메르스; | ====== 중동호흡기증후군 (메르스; | ||
| - |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 + | 중동호흡기증후군은 코로나바이러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
| - | MERS-CoV는 SARS와 유사한 여섯 번째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이다(그러나 SARS 및 보통 | + | =====감염===== |
| - | 한편 [[메르스]]는 새로운 유형의 | ||
| - | 하지만 치사율이 40% 수준이어서 | + | CDC와 WHO에 따르면 원칙적으로 잠복기에는 |
| - | 2013년 9월 9일 기준으로 | + | ====국내환자==== |
| - | 2015년 5월 기준으로 | + | - A. 중동 갔다온 첫 감염자 A씨(68) |
| + | - 5.12,14 ⓐ의원 진료 (간호사 I) | ||
| + | - 5.15-17 ⓑ병원 입원 (B, | ||
| + | - 5.17 | ||
| + | - 5.18-20 ⓓ병원 입원 (J 전염) | ||
| + | - B. A씨의 | ||
| + | - C. 같은 ⓑ병원에서 A씨와 2인실을 함께 사용하던 | ||
| + | - D. C씨(76)의 40대 딸 D - A씨와 약 4시간 동안 같은 병실에 체류하면서 | ||
| + | - E. 17일 | ||
| + | - F. A씨(68)와 ⓑ병원 같은 병동 옆 병실에 15~17일 | ||
| + | - G. ⓑ병원에서 A씨(68)를 진료했던 병동 간호사(28·여) G | ||
| + | - H. C씨의 아들 H - ⓑ병원에서 C씨와 접촉 후 증상 있었으나 의사의 | ||
| + | - I. | ||
| + | - J. | ||
| + | - K. A씨가 처음 입원했던 ⓑ병원의 79세 여성 | ||
| + | - L. A씨가 처음 | ||
| + | - M. ⓑ병원에서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아내 L씨 를 간병한 남편 | ||
| + | - N. ⓑ병원에서 입원했던 환자 B씨(35) | ||
| + | - O. ⓑ병원에서 입원했던 엄마를 매일 병문안 한 C씨(35) | ||
| + | - P. ⓑ병원에서 입원했던 | ||
| + | - Q. ⓑ병원에서 입원했던 | ||
| + | - R. ⓑ병원에서 입원했던 R(여·77) | ||
| + | - S. 최초 감염자 A(68)씨가 지난 15~17일 입원한 병원에서 | ||
| + | - T. 20 ⓑ병원에서 첫 환자와 같은 병동에 입원한 | ||
| + | - U. 21 ⓑ병원에서 첫 환자와 같은 병동에 입원한 | ||
| + | - V. 22 ⓑ병원에서 첫 환자와 같은 병동에 입원한 환자 또는 가족 | ||
| + | - W. 23 ⓓ병원에서 16번째환자 | ||
| + | - X. 24 ⓓ병원에서 16번째환자 J 와 같은 병실에 28~30일 | ||
| + | - Y. 25 환자 A(57)씨는 천식으로 인한 호흡곤란으로 지난달 11일부터 입원치료 중이었으며 ⓑ병원에서 같은 달 15~17일 사이 최초 환자를 접촉했고, | ||
| + | |||
| + | |||
| - | =====감염===== | ||
| - | MERS-CoV의 증상은 신부전과 중증급성 폐렴을 동반하며, | ||
| - | CDC와 WHO에 따르면 | + | |
| + | |||
| + | * 환자들은 전원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음압시설이 설치된 격리병상에서 치료받고 있고 두명은 위중함. | ||
| + | * 서울 여의도성모병원은 감염환자가 진료를 받은 것은 | ||
| + | * 평택의 병원은 폐쇄됨. [[http:// | ||
| + | * 보건당국은 | ||
| + | |||
| + | |||
| + | |||
| + | |||
| + | {{: | ||
| ====해외환자==== | ====해외환자==== | ||
| 줄 34: | 줄 72: | ||
| |12월 1일|10명 감염|350명 사망| | |12월 1일|10명 감염|350명 사망| | ||
| |12월 15일|3명 감염|355명 사망| | |12월 15일|3명 감염|355명 사망| | ||
| + | =====원인===== | ||
| + | 이집트의 바이러스학자 알리 모하메드 자키(Ali Mohamed Zaki) 박사가 사우디아라비아 지다에서 발견했다. 그는 급성 폐렴 및 급성 신부전 증세를 보이는 60세 남성의 허파에서 그전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의문의 코로나바이러스를 분리하였다. 그리고 자키 박사는 이 발견을 프로메드메일에 게재하였다. | ||
| - | ====국내환자==== | + | MERS-CoV는 SARS와 유사한 여섯 번째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이다(그러나 SARS 및 보통 |
| - | | + | |
| - | - 5.12,14 ⓐ병원 진료 (간호사 I) | + | 한편 [[메르스]]는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 바이러스]] |
| - | | + | |
| - | - 5.17 | + | 하지만 치사율이 40% 수준이어서 |
| - | - 5.18-20 ⓓ병원 입원 (J 전염) | + | |
| - | - B. A씨를 간병하던 부인 B(63) | + | 2013년 9월 9일 기준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 |
| - | - C. 같은 병원에서 | + | |
| - | - D. 70대 남성 C씨(76)의 40대 딸 D - 첫 번째 확진환자와 약 4시간 동안 같은 병실에 체류하면서 동시에 감염 | + | |
| - | - E. 17일 첫 번째 | + | |
| - | - F. 15~17일 첫 감염자 A씨(68)와 같은 병동 옆 병실에 입원했던 환자(71) F - 경기도 모병원에서 수원 모 대학병원 (성빈센트 추정), 아산병원 갔다가 여의도 | + | |
| - | - G. 첫 감염자 A씨(68)를 진료했던 병동 간호사(28·여) G | + | |
| - | - H. C씨의 아들 H - C씨와 접촉 후 증상 있었으나 의사의 권고 무시하고 직장출근, | + | |
| - | - I. 여덟 번째 환자는 국내 첫 메르스 환자인 A(68)씨가 처음으로 찾은 (12·14·15일) | + | |
| - | - J. 아홉 번째 환자는 A씨가 두 번째로 입원했던 | + | |
| - | - K. 최초 확진 환자가 입원한 병원의 79세 여성 | + | |
| - | - L. 최초 확진 환자가 입원한 병원의 | + | |
| - | + | ||
| - | {{: | + | =====증상===== |
| + | [[메르스]]의 잠복기는 | ||
| - | * 환자들은 전원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음압시설이 설치된 격리병상에서 치료받고 | + | MERS-CoV의 증상은 신부전과 중증급성 폐렴을 동반하며, |
| - | * 서울 여의도성모병원은 | + | |
| - | * 평택의 병원은 의사 4명과 간호사를 포함한 20여명의 직원이 자가격리 중이다. | + | |
| - | * 보건당국은 | + | |
| - | =====예방===== | ||
| + | 증상이 심해지면 만성질환과 면역기능 저하를 불러온다.. 신장 기능 이상에 따른 신부전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은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만의 특징이다. 환자의 90% 이상이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에서 발생했으며 낙타와 접촉한 뒤 감염된 사례가 많다고 한다. | ||
| - | | + | =====치료===== |
| - | *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피하고 | + | 증상에 따른 내과적 치료를 한다. |
| + | |||
| + | 항바이러스나 예방백신이 없다. | ||
| + | |||
| + | |||
| + | =====예방===== | ||
| + | |||
| + | | ||
| + | *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피하고 | ||
| + | * 손을 자주 씻고 | ||
| + | * 마스크를 쓰는 등 호흡기 감염예방수칙을 준수 | ||
| * 병원에서는 환기를 잘하고 의료인은 마스크 등의 방어도구를 착용한다. | * 병원에서는 환기를 잘하고 의료인은 마스크 등의 방어도구를 착용한다. | ||
| + | * 해외에서는 낙타 및 낙타 관련 음식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 | ||
| - | {{ta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