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기
내용으로 건너뛰기
추적
문서의 이전 판을 선택했습니다!
저장하면 이 자료로 새 판을 만듭니다.
미디어 파일
{{tag>루게릭병}} {{page>:틀#의학}} ====== 루게릭병 ======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 :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일반적으로 루게릭병으로 알려짐 루게릭병 질병 코드 G12.21, 산정특례코드 V123 1930년대 미국 뉴욕 양키스팀의 전설적인 야구스타 루게릭 선수가 갑작스런 발병 후 약 2년 뒤인 38세에 사망함으로써 그 선수의 이름인 루게릭병으로 알려지기 시작 희귀난치병으로 인구 10만 명에 대략 2~3명에게 발병하여 미국에는 약 3만 명, 전 세계적으로 10만 명 정도, 국내에는 2018년 기준으로 약 3,630명이 투병 중이다. 루게릭병은 남성이 여성보다 그리고 중장년층이 청년층보다 발병 비율이 높다. =====증상 운동신경세포만 점차 소실되어 급격한 체중감소와 근육의 위축, 사래 걸림, 사지마비, 언어기능 상실, 음식물 섭취 기능 상실, 호흡근육의 약화로 결국 호흡기에 의존하게 됨 인지능력과 감각신경은 그대로 유지되지만 의지대로 전혀 움직일 수 없는 마치 가위에 눌린 듯한 상태임 눈 깜박임은 미약하게라도 끝까지 유지되기 때문에 의사소통은 가능함 환우의 지적/판단/감정기능 등의 인지능력과 감각기능은 끝까지 명료하게 남아 있다. 위루술과 기도관 절개 및 인공호흡기 등 환우의 안전한 간병을 위해 24시간 간병이 반드시 필요함 =====원인 및 치료현황 아직까지 원인도 알 수 없고 치료제 개발이 성공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연구 및 임상실험이 진행되고 있음 =====예후 환우의 성별, 체력, 연령에 따라 그 차이가 있으나 보통 2~3년 이내, 기관절개 후 호흡기 사용 시 5년 내외로 평균 기대 수명은 3~4년 정도이다. 보통 3년 미만이 50% 정도로 가장 많았으나 , 호흡기기 및 의료기기의 발전과 간병 여건에 따라 10년 이상인 경우도 점차 늘어나고 있음 루게릭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현대의학의 급속한 발전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머지않아 루게릭병 완치의 전망을 기대
2+1?
이 필드는 비어 있도록 유지하세요:
저장
미리 보기
취소
편집 요약
참고: 이 문서를 편집하면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하는 데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
연결문서
궁여지책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연결문서
맨 위로
다크 모드로 보기
☀️
Toggle Menu
의학 (Medicine)
너두 고쳐두 됩니다.
사이트 도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사용자 도구
등록
로긴
최근 수정된 문서
대마초
glycemic_index
[설탕을 피하고, GI수치 60이하의 식품을 먹는다]
reactive_hypoglycemia
[🚫 예방법]
low_insulin_diet
[혈당지수(GI) 낮은 음식을 선택할 것]
vaermina_quest
black_soul_gem
tes4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blood_of_the_daedra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black_soul_gem_oblivion
↷ 문서 이름이 game:tes4:black_soul_gem_oblivion에서 game:tes4:black_soul_gem(으)로 바뀌었습니다
revenge_served_cold
oblivion_gate
paradise
만듦
defense_of_bruma
great_gate
[거대 게이트 (Great Gate)]
defense_of_bruma_oblivion
↷ 문서 이름이 game:tes4:defense_of_bruma_oblivion에서 game:tes4:defense_of_bruma(으)로 바뀌었습니다
miscarcand_quest
[Miscarcand Quest]
kvatch
만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