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med:독감 [2016/12/17 03:25] V_Lmed:독감 [2023/12/04 03:57] (현재) – [치료] V_L
줄 51: 줄 51:
 성인에게 열이 나면 독감이다. 독감에 걸리면 37.8~38.9도 이상의 열이 난다. 성인에게 열이 나면 독감이다. 독감에 걸리면 37.8~38.9도 이상의 열이 난다.
 감기는 콧물이 나거나 코가 막히는 것이 보통이다. 서서히 나타나며 약 1주일간 지속된다. 감기는 콧물이 나거나 코가 막히는 것이 보통이다. 서서히 나타나며 약 1주일간 지속된다.
 +=====치료=====
 +
 +가장 중요한 치료방법은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
 +충분한 수분을 섭취, 가습기 사용으로 습도를 높여 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가래가 있는 기침을 할 경우, 가래를 배출하는 것에도 도움이 된다.
 +
 +약물 요법은 해열 진통제로서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등을 사용함. 소아에서 아스피린을 사용할 때에는 라이증후군이라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꼭 의사와 상담해야 함.
 +
 +특히 3세 이하의 어린 소아가 독감에 걸렸을 때, 성인이라도 고열이 3일 이상 지속되거나 기침이 오래 지속되며 점차 심해지고 흉통, 호흡곤란이 동반되거나 가래가 있는 기침을 하게 되면 병원을 찾아 진료 받도록 하는 것이 좋다.
 +
 +  * [[타미플루]] - 5일간 복용
 +  * 페라미플루 - 1회 맞는 주사. 보통 한번 맞으면 24시간 안에 열이 잡힌다
 +
 +타미플루와 페라미플루는 증상이 시작된 후, 48시간 이내에 투여를 해야
 +효과를 빠르게 볼 수 있다
 +
 + 
 =====예방===== =====예방=====
  
-독감백신을 맞으면 된다.+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독감 예방 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 
  
 2009년 지구촌을 휩쓴 "신종플루" 바이러스는 이미 일반 독감백신에 포함되어 있다. ((이듬해 곧바로 독감 백신에 포함되어 계절성 인플루엔자의 일종으로 관리돼 왔기에)) 더이상 신종이 아니다. 2009년 지구촌을 휩쓴 "신종플루" 바이러스는 이미 일반 독감백신에 포함되어 있다. ((이듬해 곧바로 독감 백신에 포함되어 계절성 인플루엔자의 일종으로 관리돼 왔기에)) 더이상 신종이 아니다.
줄 76: 줄 92:
   *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는다.   *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는다.
   * 외출 후 집에 오면 올바른 손 씻기 방법으로 손을 씻는다.   * 외출 후 집에 오면 올바른 손 씻기 방법으로 손을 씻는다.
-====손바닥과 손바닥을 마주 대고 문질러 준다.==== 
-  * 손가락을 마주 잡고 문질러 준다. 
-  * 손등과 손바닥을 마주 대고 문질러 준다. 
-  * 엄지 손가락을 다른 편 손바닥으로 돌려주면서 문질러 준다. 
-  * 손바닥을 마주 대고 손 깍지를 끼고 문질러 준다. 
-  * 손가락을 반대편 손바닥에 놓고 문지르며 손톱 밑을 깨끗하게 한다. 
-==== 올바른 기침예절==== 
   *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때는 티슈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한다.   *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때는 티슈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한다.
   * 티슈가 없다면 소매로 가린다.   * 티슈가 없다면 소매로 가린다.
줄 88: 줄 97:
   * 알콜이 함유된 손소독제를 이용한다.   * 알콜이 함유된 손소독제를 이용한다.
   * 흐르는 따뜻한 물에 비누로 20초간 씻는다.   * 흐르는 따뜻한 물에 비누로 20초간 씻는다.
- 
-=====치료===== 
- 
-가장 중요한 치료방법은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 
-충분한 수분을 섭취, 가습기 사용으로 습도를 높여 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가래가 있는 기침을 할 경우, 가래를 배출하는 것에도 도움이 된다. 
- 
-약물 요법은 해열 진통제로서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등을 사용함. 소아에서 아스피린을 사용할 때에는 라이증후군이라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꼭 의사와 상담해야 함. 
- 
-특히 3세 이하의 어린 소아가 독감에 걸렸을 때, 성인이라도 고열이 3일 이상 지속되거나 기침이 오래 지속되며 점차 심해지고 흉통, 호흡곤란이 동반되거나 가래가 있는 기침을 하게 되면 병원을 찾아 진료 받도록 하는 것이 좋다. 
- 
- 
-[[타미플루]] 
- 
    
-=====예방=====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독감 예방 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  
  
 ====예방접종==== ====예방접종====
 +
 +{{:med:독감-134258.png}}
  
 특히 65세 이상 노인, 6개월 이상 소아, 만성 심폐질환, 당뇨병, 신부전, 면역억제요법 환자 등은 반드시 독감 예방 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 6개월 이상 소아, 만성 심폐질환, 당뇨병, 신부전, 면역억제요법 환자 등은 반드시 독감 예방 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