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남성불임 [2024/02/02 10:23] – [남성불임] V_L | med:남성불임 [2025/10/11 02:56] (현재) – [진단] 172.71.218.253 | ||
---|---|---|---|
줄 3: | 줄 3: | ||
{{page>: | {{page>: | ||
- | ====== 남성불임 ====== | + | ====== 남성난임 ====== |
불임 원인대상은 [[불임|여성불임]] 진단보다 비교적 진단이 간단하므로 남성불임 원인을 먼저 찾는 것이 중요하다. 남성측불임요인은 전체 불임의 약 30-35%로 보고되고 있다. | 불임 원인대상은 [[불임|여성불임]] 진단보다 비교적 진단이 간단하므로 남성불임 원인을 먼저 찾는 것이 중요하다. 남성측불임요인은 전체 불임의 약 30-35%로 보고되고 있다. | ||
줄 10: | 줄 10: | ||
=====남성가임력===== | =====남성가임력===== | ||
+ | 2017 WHO 가이드 | ||
* 비만 - 불확실 | * 비만 - 불확실 | ||
줄 34: | 줄 35: | ||
고환에서 만들어진 정자는 부고환, 정관을 통해 요도에서 사출 된다. 이때 정낭이나 전립선에서 만들어진 정액이 정자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 고환에서 만들어진 정자는 부고환, 정관을 통해 요도에서 사출 된다. 이때 정낭이나 전립선에서 만들어진 정액이 정자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 ||
- | 그 때문에 부고환, | + | 그 때문에 부고환, |
줄 52: | 줄 53: | ||
===== 진단===== | ===== 진단===== | ||
- | 불임 원인대상은여성불임 진단보다 비교적 진단이 간단하다. | + | 불임 원인대상은 여성불임 진단보다 비교적 진단이 간단하다. |
남편의 검사는 먼저 문진과 [[med: | 남편의 검사는 먼저 문진과 [[m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