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의학지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의학은 빠르게 변화하는 학문으로 아래의 내용은 최신의 정보가 아닐 수 있으며, 따라서 글을 읽는 시점에는 정확한 내용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이 내용에 따라 스스로 질병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려 하지 마십시오. 질병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필수적입니다. 이 내용은 의학적 상식을 넓히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십시오.

경부 제대륜 (Nuchal Cord)

산전 진찰로 초음파 검사를 받다 보면 아기의 목에 탯줄이 감겨 있다고 듣는 경우들이 종종 있을 것이다.

경부 제대륜 또는 감겨진 제대나 목덜미 제대라고 하는 것은 태아의 목을 탯줄이 360도 완전히 감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탯줄은 자궁 안에 있는 태아가 산모로부터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태아가 양수 안에서 유영을 하면서 자세가 수시로 바뀌는 와중에 탯줄이 목에 감기어 되어 이런 경부 제대륜이 생기는 것으로 그 자체는 기능이든 형태든 태아의 건강과 관련하여 큰 문제는 아니다.

이 경부 제대륜을 최초로 의학계에 보고한 사람은 1962년에 영국의 크로포드 박사이며 그가 보고한 이래 지금껏 많은 보고들이 있어 왔고 분만 진통 중 탯줄에 일시적인 압박(조임)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출산시 태아가 위급한 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보고들도 있지만 절반 정도는 분만 전에 저절로 풀어 진다고 한다.

경부 제대륜은 보고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적게는 전체 산모 중 6%에서 많게는 37%의 빈도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을만큼 그리 드문 현상은 아니다.

또한 경부 제대륜은 임신이 진행되면서 발생 빈도가 상승하는 경향인데 어떤 연구자는 임신 20주 시점에서 6%, 임신 42주 시점에서 29.0 % 정도라고 보고하기도 하였다.

경부 제대륜의 분류는 두가지가 있는데 탯줄이 그저 태아의 목을 360도 감싸고 있는 것을 타입 A라고 하고 엇갈려서 감겨 있게 되어서 출산하면서 꼬여서 매듭이 지어지는 경우를 타입 B라고 하는데 타입 B는 저절로 풀어지지는 않지만 출산 전에 이 둘을 구분하기는 어렵다.

다만 경부 제대륜이 1회 감고 있는지 2회 감고 있는지 하는 것은 그리 구분하기 어렵지는 않다.

수많은 소급 데이터는 출산 시의 1회 또는 2회 이상의 경부 제대륜이 임신 후기의 태아나 신생아의 상태에 그다지 나쁜 결과를 초래하지는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탯줄이 타이트하게 감겨 있는 경우 신생아가 일시적으로 위급 상황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는 보고들은 있다.

경부 제대륜을 분만 전에 달리 풀어줄 방법은 없으며 출산 때는 탯줄이 꽉 끼어 있지 않은 경우 분만하면서 풀어주면 된다.

그러나 탯줄이 너무 꽉 끼어 있어서 풀기가 어렵고 출산으로 인해 탯줄 당김이 심해질 경우 분만시 태아의 목이 노출될 때 탯줄을 자르고 클램프로 묶은 후 분만을 하기도 한다.

드물게 태아사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역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