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기
내용으로 건너뛰기
추적
•
dead_space
문서의 이전 판을 선택했습니다!
저장하면 이 자료로 새 판을 만듭니다.
미디어 파일
====== 오컴의 면도날 ====== 혹은 오캄. Occam's Razor 또는 Ockham's Razor. 14세기 [[영국]]의 논리학자이자 프란체스코 수도회의 [[수사]]였던 오컴의 윌리엄(William of Occam)의 [[이름]]을 따서 나온 선택의 방법. 윌리엄의 저서에 나온 말을 옮기자면 "필요없이 복잡성을 부여하지 말 것(Pluralitas non est ponenda sine neccesitate)". 윌리엄이 이 원리를 만든 건 아니지만 윌리엄이 빈번히 사용했기 때문에 그의 이름이 붙었다. 간단히 말하면 어떠한 현상을 설명할 때 복잡한 가정을 하지 않고, 가장 간단한 설명을 고르는 것이 맞을 확률이 높다는 것을 말한다. '같은 현상을 설명하는 두 개의 주장이 있다면, 간단한 쪽을 선택하라'는 뜻. 절약 원리, 단순성의 원리라고도 한다. 여기서 오해하기 쉬운데 간단한 것이야 말로 진리라는 주장이 아니라, 두 주장이 가설을 입증하는 정도가 똑같을 때 가장 간단한 것(주장이 알기 쉽다는 뜻이라기 보단 설명을 가장 간결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이 진실일 확률이 높다는, 일종의 선택의 방법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오컴 본인도 **꼭 필요하지 않다면** 이라는 제한을 두었다는 것을 명심하자. 이건 논리적인 법칙도, 과학적인 법칙이라고 볼 수도 없는 애매한 위치의 직관적인 경험법칙이기 때문에 상대방이 무슨 소리냐고 무시해버리면 할 말이 없다. 또한 위의 예와 같이 상대방이 오히려 궤변을 들고 나오면 골치 아파진다. 일일히 설명을 해주면 호흡을 짧게가져 가야 하는 토론에서 말이 길어지는 수가 있다. 그렇게 되면 관전하는 쪽에서는 누구 편을 들어주겠는가? 애초에 저 위의 분들이 토론할 때나 서로 간지나게 언급할 수 있는 내용이지 ((**주)** 논문에서 그 분야에서 짬밥먹은 교수들이 리뷰 쓸 때 가끔 언급하기도 한다)) 함부로 토론에서 이걸 써먹을려다가는 된통 당하는 수가 있다. [[회의주의]]자들이 종종 사용하는 기법으로, "[[유태인]]이 세계를 좌지우지하기 위해 모든 역사적 사실을 왜곡해서 [[홀로코스트]]가 일어났다고 착각하게 만들었다"라는 [[홀로코스트 부정론]]이나, "모든 문명의 기원은 [[아프리카]]인데, 전세계가 짜고 그 모든 진실을 묻어버렸다"라고 주장하는 [[아프리카 문명 기원설]] 같은 사이비 역사에 대한 반론이나, 각종 심령술, (거짓) [[초능력]]에 대한 반론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환빠]]에 대한 반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천동설]]로 [[태양계]]에서의 [[행성]]의 움직임을 설명하려면 매우 복잡하지만([[금성]]의 움직임 등) [[지동설]]로 설명하면 훨씬 간단하다. 물론 이게 100% 맞다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론적으로는 가장 인과 관계에 맞는 답이 나온다.(( **주)** 우주의 중심이 태양은 아니지만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돈다고 하는게 말이된다. 예를 들면 연주시차라던지.)) 실제로 [[코페르니쿠스]]가 [[지동설]]을 주장하게 된 계기는 천동설이 쓸데없이 복잡하다는 것이었다. 반대로 오컴의 면도날을 잘못 쓴 예를 들어보자면 이하와 같다. 1. [[진화론]]을 설명하는데는 수천건의 논문과 서적이 필요하다. 2. [[창조설]]을 설명하는데는 "[[신]]이 그렇게 창조했다."한마디면 된다. 3. 그러므로 창조설이 진화론보다 [[자연]]을 더 단순하게 설명하므로 창조설이 진리다. 상기한 논증이 틀린 이유는 윗 문단을 다시 읽어보면 알 수 있다. 가설을 입증하는 정도가 진화론 >> 창조설이기 때문에 둘을 동등하게 비교하는게 불가능하다. **어떤 이론이 현상을 더 잘 설명한다면 비록 더 복잡해도 그게 답일 수 있다.** (( **주)** 간결성에 있어서도 창조설이 낫다고 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창조설은 가설의 전제에 이미 신이라는 인간의 이성과 과학의 법칙 너머의 존재를 전제하고 있으므로.)) 애초에 오컴의 면도날이라는 것이 여러 가설 중 하나를 채택하기 위한 태도 중 하나일 뿐, 진위를 가르는 잣대까지는 될 수 없다.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이와 비슷한 말로 '최대한 단순하게 만들되 그 이상 더 단순하게 만들지 말라'라는 충고를 남겼다. 오컴의 면도날이 오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규칙이 더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 출처: 엔하위키- 오컴의 면도날 {{tag>오컴의 면도날}}
2+1?
이 필드는 비어 있도록 유지하세요:
저장
미리 보기
취소
편집 요약
참고: 이 문서를 편집하면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하는 데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연결문서
맨 위로
다크 모드로 보기
☀️
Toggle Menu
오픈위키
너두 고쳐두 됩니다.
사이트 도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사용자 도구
등록
로긴
최근 수정된 문서
start-up_stopped
semen_analysis
[정액검사결과 정상치]
페러데이_저가_투어
[페러데이 저가 투어]
php
[safe mode 를 사용하라]
complex_regional_pain_syndrome
dj_java_decompiler
[자바 디컴파일러 (Dj Java Decompiler)]
std024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misuse_preca4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misuse_nobason6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herpes_simplex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임신_중_음부포진_감염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외음부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genital_herpes
연성하감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섹스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성병예방_치료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성병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