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약무호남_시무국가 [2017/12/16 00:09] – 이전 판으로 되돌림 (2016/03/07 01:54) V_L | 약무호남_시무국가 [2018/02/22 03:3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줄 1: | 줄 1: | ||
+ | {{tag> | ||
====== 약무호남 시무국가 ====== | ====== 약무호남 시무국가 ====== | ||
줄 9: | 줄 10: | ||
그러나 충무공의 이 말씀은 그리 해석되는 문구가 아니다. | 그러나 충무공의 이 말씀은 그리 해석되는 문구가 아니다. | ||
- | + | ||
- | 이 말이 참된 의미는 김대중 대통령의 생각과는 전혀 다른 것이며, 그의 견해는 전체 문맥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완전히 독자적인 해석의 결과일 뿐이다. | + | |
주지하듯이 충무공은 ‘무호남(無湖南) 무국가(無國家)’가 아니라 정확하게 ‘약무호남(若無湖南) 시무국가(是無國家)’라고 했다. 이 말의 출처는 ‘발해고(渤海考)’의 저자 유득공(柳得恭)이 1795년(정조 19년) 왕명에 따라 편찬한 이순신 장군의 문집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의 끝부분 서간문 모음집에 실려 있는 충무공이 사헌부 지평 현덕승에게 보낸 편지이다. | 주지하듯이 충무공은 ‘무호남(無湖南) 무국가(無國家)’가 아니라 정확하게 ‘약무호남(若無湖南) 시무국가(是無國家)’라고 했다. 이 말의 출처는 ‘발해고(渤海考)’의 저자 유득공(柳得恭)이 1795년(정조 19년) 왕명에 따라 편찬한 이순신 장군의 문집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의 끝부분 서간문 모음집에 실려 있는 충무공이 사헌부 지평 현덕승에게 보낸 편지이다. | ||
줄 87: | 줄 87: | ||
약무호남시무국가는 전략상 요충지로서 지정학적으로 호남 방어가 매우 중요하다뜻임. | 약무호남시무국가는 전략상 요충지로서 지정학적으로 호남 방어가 매우 중요하다뜻임. | ||
- | {{tag>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