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 | |||
성씨 [2021/04/25 03:07] – V_L | 성씨 [2021/04/25 03:14] (현재) – V_L | ||
---|---|---|---|
줄 6: | 줄 6: | ||
=====역사===== | =====역사===== | ||
우리 나라 성(姓)은 중국의 한자문화가 유입한 뒤인 삼국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에서 처음으로 성을 사용한 것은 한자를 발명한 중국이며, | 우리 나라 성(姓)은 중국의 한자문화가 유입한 뒤인 삼국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에서 처음으로 성을 사용한 것은 한자를 발명한 중국이며, | ||
- | - 신농씨(神農氏)의 어머니가 강수(姜水)에 있었으므로 강(姜)씨라고, | + | * |
- | - 황제(黃帝)의 어머니가 희수(姬水)에 있었으므로 성을 희(姬)씨로, | + | |
- | - 순(舜)의 어머니가 요허(姚虛)에 있으므로 성을 요(姚)씨로한 것은 이것을 실증한다. | + | |
====삼국시대==== | ====삼국시대==== | ||
줄 19: | 줄 19: | ||
이와 같이 삼국은 고대 부족국가 시대부터 성을 쓴 것처럼 기록되어 있으나, 7세기 이전 건립된 | 이와 같이 삼국은 고대 부족국가 시대부터 성을 쓴 것처럼 기록되어 있으나, 7세기 이전 건립된 | ||
- | - 신라 진흥왕의 네곳의 순수비 | + | * |
- | - 신라 진지왕 3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무술오작비, | + | |
- | - 진평왕시대에 건립된 경주 남산의 신성비 등의 | + | |
비문에 나타나 있는 내용을 볼때 인명에 성을 사용한 사람이 나타나지 않고 소속부명(촌명)과 이름만 쓴 것을 보면 우리 선조는 성보다 본(촌명)을 먼저 썼다고 볼 수 있다. | 비문에 나타나 있는 내용을 볼때 인명에 성을 사용한 사람이 나타나지 않고 소속부명(촌명)과 이름만 쓴 것을 보면 우리 선조는 성보다 본(촌명)을 먼저 썼다고 볼 수 있다. | ||
이상의 예를 들어 추정해보면, | 이상의 예를 들어 추정해보면, | ||
- | - 고구려는 장수왕시대(413~490)부터, | + | * |
- | - 백제는 근초고왕시대(346~375)부터, | + | |
- | - 신라는 진흥왕시대(540~576)부터 성을 쓴 것으로 기록에서 추정한다. | + | |
삼국 시대의 성은 | 삼국 시대의 성은 | ||
- | - 고구려: 고(高), 을(乙), 예(芮), 송(松), 목(穆), 간, 주(舟), 마(馬), 손(孫), 동(董), 채, 연(淵), 명림(明臨), | + | * |
- | - 백 제 : 여, 사, 연, 협, 해, 진, 국, 목, 국 등의 팔족과 왕, 장, 사마, 수미, 고이, 흑치 | + | |
- | - 신 라 : 박, 석, 김 3성과 이, 최, 정, 손, 배, 설의 육부의 6성과 장, 비 | + | |
등이있고, | 등이있고, | ||
줄 54: | 줄 54: | ||
1960년 국세조사에는 258성, | 1960년 국세조사에는 258성, | ||
1985년 인구 및 주택 센서스에서는 274개의 성으로 기록되었다. | 1985년 인구 및 주택 센서스에서는 274개의 성으로 기록되었다. | ||
- | 그리고 | + | 그리고 2000년 인구 및 주택 센서스에서는 286개의 성씨로 보고되었다. |
그러나 일제식민 통치하에서 내선일체(內鮮一體)와 황국신민화(皇國臣民化) 정책의 일환으로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고치라며 1939년에 시행한 창씨개명은 1945년 해방과 1946년 10월 23 일 미군정이 공포한 조선성명복구령(朝鮮姓名復舊令)에 따라 이름을 다시 찾을 때 까지 우리나라 성씨 역사의 가장큰 수난기였다. 이후에도 국제화 시대를 맞아 외국인의 귀화 등으로 새로운 성씨와 본관이 많이 생겨나게 되었다. | 그러나 일제식민 통치하에서 내선일체(內鮮一體)와 황국신민화(皇國臣民化) 정책의 일환으로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고치라며 1939년에 시행한 창씨개명은 1945년 해방과 1946년 10월 23 일 미군정이 공포한 조선성명복구령(朝鮮姓名復舊令)에 따라 이름을 다시 찾을 때 까지 우리나라 성씨 역사의 가장큰 수난기였다. 이후에도 국제화 시대를 맞아 외국인의 귀화 등으로 새로운 성씨와 본관이 많이 생겨나게 되었다. | ||
줄 61: | 줄 61: | ||
- | | + | [[htt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