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기
내용으로 건너뛰기
추적
문서의 이전 판을 선택했습니다!
저장하면 이 자료로 새 판을 만듭니다.
미디어 파일
{{page>틀:펌글}} ======모에 그림====== {{http://www.geekosystem.com/wp-content/uploads/2010/09/how-to-draw-anime-characters1.png}} 萌え絵(모에에). [[일본]]의 [[애니메이션]], [[게임]] 등에 등장하는 일련의 [[캐릭터]] 표현 방식을 가리키는 속어. [[모에]]의 파생어로서, 90년대경 [[에로게]]를 중심으로 나타난 캐릭터의 얼굴을 동글동글하고 눈은 크게 그리는 등의 방식을 가리키는 단어로 처음 등장했다. 의미적으로는 '모에한 그림'이라기보다 '모에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그림', 쉽게 말해 보편적인 [[오타쿠]]가 선호하는 그림이다. 일본의 게임과 애니메이션이 전세계적으로 퍼져나가며 일본 애니메이션을 대표하는 [[그림체]]로 인식되고 있다. 주로 인물의 어려보이는 구석을 강조하는 그림체로서, 등신이 짧고, 팔다리가 가늘며, 안구와 눈동자가 크고, 코는 보이지 않을 정도로 생략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눈의 표현이 극히 과장되어 있어서 비정상적으로 크고, 반사광이 많이 들어간다. 그에 반해 몸쪽은 단순화. 근육 표현은 대부분 생략되고 몸의 굴곡도 그다지 드러나지 않는다. 단 여성 캐릭터의 경우 가슴과 힙에 한해 강조하기도 한다. 그리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채색 방법 역시 어느정도 패턴화 되어있어, 마치 애니메이션의 셀화처럼 극명한 명암처리가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며 다른 일반적인(?) [[그림체]]와 혼합/응용되는 경우도 있기에 위에 언급한 특징만으로 모에 그림이다 아니다를 논하기는 어렵다. 실제로 [[김형태]]를 필두로 극화체와 만화체를 혼합시킨 소위 **세미체**가 한국 그림쟁이를 중심으로 퍼져나가고 있다. 세미체는 [[그림체]] 항목에 나와있듯 어느 정도 큰 눈을 유지하면서도 인체비례와 근육의 굴곡을 실감나게 표현하는 것이다. 사실상 현재로서는 얼굴부위의 특징만 이어받은 눈이 크고 과장되어 묘사되어 있는 캐릭터를 가리키는 단어로 흔히 사용된다. 여담이지만 위 그림에서 실사체 선호하는 이들은 1~3을 선호하고, 서브컬쳐계에서는 5정도가 가장 모에하다고 간주하며, 6~7은 아동용 만화 혹은 저연령용 순정만화 계통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비율이다. 실사체 선호하는 이들에겐 5도 크겠지만 일반적으로 6~7부터 눈깔괴물 범주에 들어간다. 8~9는 [[데포르메]]화풍으로 [[파워퍼프걸]]이 그 예. 일반적으로 아무리 아동용 및 순정만화래도 저 비율로 그리는 만화는 없다. 그 눈크다고 유명한 [[키라링 레볼루션]]도 7범주에 들어간다. * 출처: 나무위키- 모에 그림(CC BY-NC-SA 2.0) {{tag>나무위키 펌 모에 그림}}
저장
미리 보기
취소
편집 요약
참고: 이 문서를 편집하면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하는 데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
연결문서
모에화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연결문서
맨 위로
다크 모드로 보기
☀️
Toggle Menu
오픈위키
너두 고쳐두 됩니다.
사이트 도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사용자 도구
등록
로긴
최근 수정된 문서
follicle
nms
[원정]
amh
breast_cancer
[유방암 (Breast Cancer)]
mammography
breast_sonography
hrt
[정맥 혈전색전증]
vte
pulmonary_embolism
[증상]
수퍼스타_경제학
[예시]
mc
정자회복플랜
[보충 루틴 (아침 기준)]
semen_analysis
[정자 향상을 위한 방법]
log2ram
iotop
만듦
luckperms
viaversion
만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