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ufc [2014/11/25 01:36] – 만듦 SC Yooufc [2018/02/22 03:3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1: 줄 1:
 +{{tag>ufc}}
  
  
줄 12: 줄 13:
  
  
-==== 개요 ====+
 최초의 메이저 종합격투기 단체. 종합격투기가 태어난 곳이라고도 할 수 있다. 1993년 호리온 그레이시와 아트 데이비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그것을 [[데이나 화이트]]가 인수하여 세계 최대의 MMA 단체로 만들었다. 최초의 메이저 종합격투기 단체. 종합격투기가 태어난 곳이라고도 할 수 있다. 1993년 호리온 그레이시와 아트 데이비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그것을 [[데이나 화이트]]가 인수하여 세계 최대의 MMA 단체로 만들었다.
  
줄 19: 줄 20:
 [[브라질]]에서 주짓수를 배운 호리온 그레이시는 1978년 출세를 위해 고향을 떠나 미국으로 이주한다. 청소부, [[엑스트라]] 배우 등으로 근근히 생계를 이어가던 그는 영화 제작자에게 발탁되어 리셀 웨펀 등의 무술 감독으로 조금씩 유명세를 얻기 시작한다. 판매를 시작한 주짓수 교육용 테이프가 예상외의 대박을 치자 호리온은 아트 데이비, 존 밀레스 등과 함께 미국에서 BJJ를 주인공으로 하는 [[발리 투도]] 대회를 계획하게 된다. [[브라질]]에서 주짓수를 배운 호리온 그레이시는 1978년 출세를 위해 고향을 떠나 미국으로 이주한다. 청소부, [[엑스트라]] 배우 등으로 근근히 생계를 이어가던 그는 영화 제작자에게 발탁되어 리셀 웨펀 등의 무술 감독으로 조금씩 유명세를 얻기 시작한다. 판매를 시작한 주짓수 교육용 테이프가 예상외의 대박을 치자 호리온은 아트 데이비, 존 밀레스 등과 함께 미국에서 BJJ를 주인공으로 하는 [[발리 투도]] 대회를 계획하게 된다.
  
-1993년 11월 콜로라도 덴버에서 무규칙 룰로 진행된 토너먼트는 [[브라질리안 주짓수]]의 [[호이스 그레이시]]의 우승으로 끝난다. 특히 왜소한 체격의 호이스가 거구의 켄 샴락, 제랄드 고르쥬를 꺾는 모습은 미국의 격투팬들에게 강하게 각인되었다. 이어진 대회에서 호이스는 UFC 토너먼트 2, 4를 제패하며 BJJ 홍보라는 소기의 목적을 훌륭히 완수해 낸다. 이후 목적을 이룬 그레이시 가문은 빠져나갔지만, PPV 수익에 고무된 미국인들은 그 가능성을 보고 대회를 유지했다. +1993년 11월 콜로라도 덴버에서 무규칙 룰로 진행된 토너먼트는 [[브라질리안 주짓수]]의 [[호이스 그레이시]]의 우승으로 끝난다. 특히 왜소한 체격의 호이스가 거구의 켄 샴락, 제랄드 고르쥬를 꺾는 모습은 미국의 격투팬들에게 강하게 각인되었다. 이어진 대회에서 호이스는 UFC 토너먼트 2, 4를 제패하며 BJJ 홍보라는 소기의 목적을 훌륭히 완수해 낸다. 이후 목적을 이룬 그레이시 가문은 빠져나갔지만, PPV((Pay per view; 케이블 방송이나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등의 VOD 서비스 혹은 인터넷 컨텐츠 등에서 요금을 과금하거나 광고를 보여주는 방식)) 수익에 고무된 미국인들은 그 가능성을 보고 대회를 유지했다. 
  
 하지만 무규칙 룰에 의한 지나친 폭력성이 문제가 되어 방송금지 처분을 받기에 이른다. PPV 수익으로 먹고 살던 UFC로서는 치명적인 손실이었다. 2001년 거의 파산 직전까지 이른 UFC는 200만 달러에 복서 지망생 출신인 데이나 화이트에게 매각되었다.  하지만 무규칙 룰에 의한 지나친 폭력성이 문제가 되어 방송금지 처분을 받기에 이른다. PPV 수익으로 먹고 살던 UFC로서는 치명적인 손실이었다. 2001년 거의 파산 직전까지 이른 UFC는 200만 달러에 복서 지망생 출신인 데이나 화이트에게 매각되었다. 
줄 73: 줄 74:
  
 === 반칙=== === 반칙===
 +
 +여전히 룰이 다른 입식타격 단체들보다 적고 공격적인지라 다른 격투기 시합보다 재미있게 볼 수 있다. 재미있는 것은 UFC에는 갈수록 금지기술이 늘어감에도 UFC보다 금지기술이 적은 메이저 단체가 나오지 않는다
 +
   * [[박치기]]   * [[박치기]]
   * [[눈]]을 공격하는 모든 종류의 행위   * [[눈]]을 공격하는 모든 종류의 행위
줄 90: 줄 94:
   * 사커볼 킥 - 머리를 축구공 차듯이 다리로 ...   * 사커볼 킥 - 머리를 축구공 차듯이 다리로 ...
   * 4점 니킥   * 4점 니킥
-  * 스톰핑+  * 스톰핑 - 발로 밟는 것
   * 케이지의 펜스를 잡는 행위   * 케이지의 펜스를 잡는 행위
   * 상대의 옷이나 글러브를 잡는 행위   * 상대의 옷이나 글러브를 잡는 행위
줄 105: 줄 109:
   * 이득을 얻기 위해 머리나 몸에 이물질을 바르는 행위   * 이득을 얻기 위해 머리나 몸에 이물질을 바르는 행위
  
-  * 승리요건+=== 승리요건===
   * 서브미션    * 서브미션 
   * KO/TKO   * KO/TKO
줄 112: 줄 116:
   * 몰수   * 몰수
  
 +===링===
 타 단체와 차별화한 특징으로는 철망을 두른 팔각형의 링이 있다. 케이지(Cage), 혹은 옥타곤(Octagon)이라고 부른다. 덕분에 기존의 사각링처럼 타격으로 상대를 구석에 몰아넣는 전술은 효용도가 매우 떨어진다. 반면 레슬러가 그래플링으로 상대를 구석에 몰면 재미를 볼 수 있는 구조. 시합을 참관하는 관객들 입장에선 철망으로 인해 잘 안보인다는 불만도 있다. 타 단체와 차별화한 특징으로는 철망을 두른 팔각형의 링이 있다. 케이지(Cage), 혹은 옥타곤(Octagon)이라고 부른다. 덕분에 기존의 사각링처럼 타격으로 상대를 구석에 몰아넣는 전술은 효용도가 매우 떨어진다. 반면 레슬러가 그래플링으로 상대를 구석에 몰면 재미를 볼 수 있는 구조. 시합을 참관하는 관객들 입장에선 철망으로 인해 잘 안보인다는 불만도 있다.
  
-여전히 룰이 다른 입식타격 단체들보다 적고 공격적인지라 다른 격투기 시합보다 재미있게 볼 수 있다. 재미있는 것은 UFC에는 갈수록 금지기술이 늘어감에도 UFC보다 금지기술이 적은 메이저 단체가 나오지 않는다는 것… 예외적이라면 PRIDE의 사점니킥, 스탬핑, 사커킥 허용이었지만 엘보우 사용금지나 스톱 앤 돈 무브(( 레프리 재량으로 그라운드 공방을 잠시 멈추는 것.)) 클린치 제한 같은 점을 감안하면 UFC가 더 다치기 쉽다. 그러나 미국 보건 협회 때문에 사점니킥, 스탬핑, 사커킥은 불허인데 엘보우는 허용인 조금은 형평성에 맞지 않는 룰이 만들어졌다. 이는 엘보우는 보통 피부를 찢는 것이지만 다른 세 기술은 뇌진탕을 유발할 수 있어서 생명 및 선수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이라지만… 그게 문제라면 글러브의 구조부터 바꿔야 한다. 이 때문에 이러한 규정이 [[레슬링]]을 주 베이스로 하는 미국인들이 유리하도록 만든 게 아닌가 하는 이야기도 있다.+
  
 [[그래플러]]나 그라운드 파이터들이 상당히 많고 초창기에는 그라운드 그래플러들이 더 유리했으나, 스트라이커들도 그래플링을 익히면서 주가가 오르고 있다. 물론 그래플러들도 타격기를 익힌다. [[그래플러]]나 그라운드 파이터들이 상당히 많고 초창기에는 그라운드 그래플러들이 더 유리했으나, 스트라이커들도 그래플링을 익히면서 주가가 오르고 있다. 물론 그래플러들도 타격기를 익힌다.
-==== 역대 타이틀 ==== +
-[[UFC 역대 챔피언]]+
  
 ==== 라이벌 단체들의 비교 ====  ==== 라이벌 단체들의 비교 ==== 
-대표적인 라이벌들로는 일본의 [[PRIDE]]와 [[K-1]]을 예로 들수있다. K-1의 경우 정도회관(正道会館)이 주축이 되어(( 정도회관 관장 이시이 카즈요시에 의해 주도가 되었으나, 그가 탈세로 감옥에 간 뒤에는 타니가와 프로듀서...)) 일본 무도가 VS 세계의 강자 컨셉으로 크게 사랑을 받으면서 TV방송이라는 큰 백그라운드를 가지고 있었고, PRIDE는 [[프로레슬링]]과의 우호적인 교류 속에서 성장해왔다. [[Rings]] 역시 UWF와 일심동체가 되어 성장해 왔는데,(( U계 특성상 집안싸움 내력이 복잡하긴 하지만 태생적으로 엄청 신세를 졌다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그에반해 UFC는 터줏대감이라고 할 수 있는 그레이시 주짓수가 여러가지 이유로 일찌감치 철수해 버렸고, 잔인한 경기라도 온갖 디스를 당하는데다 [[복싱]]의 견제까지 받아야 했다. +대표적인 라이벌들로는 일본의 [[PRIDE]]와 [[K-1]]을 예로 들수있다. K-1의 경우 정도회관(正道会館)이 주축이 되어(( 정도회관 관장 이시이 카즈요시에 의해 주도가 되었으나, 그가 탈세로 감옥에 간 뒤에는 타니가와 프로듀서...)) 일본 무도가 VS 세계의 강자 컨셉으로 크게 사랑을 받으면서 TV방송이라는 큰 백그라운드를 가지고 있었고, PRIDE는 [[프로레슬링]]과의 우호적인 교류 속에서 성장해왔다. [[Rings]] 역시 UWF와 일심동체가 되어 성장해 왔는데,  그에반해 UFC는 터줏대감이라고 할 수 있는 그레이시 주짓수가 여러가지 이유로 일찌감치 철수해 버렸고, 잔인한 경기라도 온갖 디스를 당하는데다 [[복싱]]의 견제까지 받아야 했다. 
  
 K-1은 떠오르는 입식타격계 시합의 메카였고, 여기에 종합격투 시합도 넘보는 단계였고, 프라이드는 한때 UFC챔피언들을 영입해 대려갈 정도로 거대해졌다. 반면에 UFC는 역사도, 전통도, 배경도 제로였기에, 제일로 장래가 불투명했다. K-1은 떠오르는 입식타격계 시합의 메카였고, 여기에 종합격투 시합도 넘보는 단계였고, 프라이드는 한때 UFC챔피언들을 영입해 대려갈 정도로 거대해졌다. 반면에 UFC는 역사도, 전통도, 배경도 제로였기에, 제일로 장래가 불투명했다.
줄 189: 줄 193:
  
  
-{{tag>uf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