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사성어

정중지와(井中之蛙)

井:우물 정. 中:가운데 중. 之:어조사 지(…의). 蛙:개구리 와.

[동의어] 정저지와(井底之蛙), 좌정관천(坐井觀天)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식견이 좁음의 비유.

① '정중지와'란 말은《장자(莊子)》〈추수편(秋水篇)에 다음과 같이 실려 있다.

황하(黃河)의 하신(河神)인 하백(河伯)이 흐름을 따라 처음으로 바다에 나와 북해에 까지 가서 동해를 바라보면서, 끝없는 넓음에 놀라서 북해(北海)의 해신(海神)인 약(若)에게 말했다. 그러자 북해의 신인 약이 이렇게 말했다.

"우물 안에서 살고 있는 개구리에게 바다를 얘기해도 알지 못하는 것(井中之蛙 不知大海)은 그들이 좁은 장소에서 살고 있기 때문이며, 여름 벌레에게 얼음을 말해도 알지 못하는 것은, 그들이 여름만을 굳게 믿고 있기 때문이다. 식견이 좁은 사람에게는 도(道)를 말해도 알지 못하거니와, 그것은 그들이 상식의 가르침에 구속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신은 지금 좁은 개울에서 나와 큰 바다를 바라보고 자기의 추함을 알았기 때문에 이제 더불어 큰 진리에 대하여 말할 수 있을 것이다.

② 왕망(王莽)이 전한(前漢)을 멸하고 세운 신(新)나라 말경, 마원(馬援)이란 인재가 있었다. 그는 관리가 된 세 형과는 달리 고향에서 조상의 묘를 지키다가 농서[ 西:감숙성(甘肅省)]에 웅거하는 외효의 부하가 되었다.

그 무렵, 공손술(公孫述)은 촉(蜀) 땅에 성(成)나라를 세우고 황제를 참칭(僭稱)하며 세력을 키우고 있었다. 외효는 그가 어떤 인물인지 알아보기 위해 마원을 보냈다. 마원은 고향 친구인 공순술이 반가이 맞아 주리라 믿고 즐거운 마음으로 찾아갔다. 그러나 공손술은 계단 아래 무장한 군사들을 도열시켜 놓고 위압적인 자세로 마원을 맞았다. 그리고 거드름을 피우며 말했다.

"옛 우정을 생각해서 자네를 장군에 임명할까 하는데, 어떤가?"

마원은 잠시 생각해 보았다.

'천하의 자웅(雌雄)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는데 공손술은 예를 다하여 천하의 인재를 맞으려 하지 않고 허세만 부리고 있구나. 이런 자가 어찌 천하를 도모할 수 있겠는가…‥.'

마원은 서둘러 돌아와서 외효에게 고했다.

"공손술은 좁은 촉 땅에서 으스대는 재주밖에 없는 '우물 안 개구리[井中之蛙]'였습니다."

그래서 외효는 공손술과 손잡을 생각을 버리고 훗날 후한(後漢)의 시조가 된 광무제(光武帝:25∼27)와 수호(修好)하게 되었다.

[출전]《後漢書》《馬援專〉《莊子》《秋水篇〉

역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