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사성어

咸興差使(함흥차사)

咸:다 함, 興:흥할 흥, 差:보낼 차, 使:사신 사

심부름 갔다가 소식이 없이 돌아오지 않는 사람

故事成語는 중국의 독점물이 아니다. 우리 말 중에도 재미있는 표현이 많은데 咸興差使가 그 대표적인 것이다.

咸興은 太祖 李成桂(이성계)의 고향이며 差使란 조정에서 懸案(현안)이 있을 때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보냈던 관리를 말한다. 朝鮮 건국후 太祖는 論功行賞(논공행상)을 실시하여 鄭道傳(정도전), 趙浚(조준) 등 개국공신들에게 都評議使司(도평의사사)라는 기구를 만들어 주었다. 당시 이 기구는 막강하여 王族과 士大夫들의 불만이 높았다.

게다가 太祖가 繼妃(계비) 소생인 芳碩(방석)을 世子로 책봉하자 불만을 품은 正妃(정비) 소생 芳遠(방원)이 太祖가 병석에 있는 틈을 타 사병을 동원해 芳碩과 함께 그의 스승이었던 鄭道傳, 이복 동생 芳蕃(방번)을 죽이고 芳果(방과)를 世子로 앉혔다. 이 사건을 계기로 太祖는 무척 상심해 芳果에게 양위하니 이가 定宗(정종)이다.(1398년)

2년 뒤 芳遠이 스스로 왕위에 올라 태종이 되자 태조는 정치에 환멸을 느낀 나머지 고향 함흥으로 잠적해 버렸다.(1401년) 태종은 평소 태조가 총애하던 成石璘(성석린)을 差使로 보내 가까스로 태조를 모셔오기는 했지만 이듬해 다시 咸興으로 가서는 감감 무소식이었다. 그 뒤 太宗이 문안 인사차 差使를 보냈지만 그때마다 差使는 돌아오지 않았다. 태조는 수차의 간청에도 돌아오지 않다가 태종이 보낸 無學大師(무학대사)의 간청으로 돌아온다. 이때부터 咸興差使라면 갔다가 소식도 없고 돌아오지도 않는 사람을 뜻하게 되었다.

역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