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사성어

기호지세(騎虎之勢)

騎:말탈 기. 虎:범 호. 之:갈 지(…의). 勢:기세 형세 세.

호랑이를 자고 달리는 기세라는 뜻. 곧 ① 중도에서 그만둘 수 없는 형세. ② 내친걸음.

남북조(南北朝) 시대 말엽인 581년, 북조 최후의 왕조인 북주(北周)의 선제(宣帝)가 죽자, 재상 양견(楊堅)은 즉시 입궐하여 국사를 총괄했다. 외척이지만 한족(漢族)이었던 그는 일찍이 오랑캐인 선비족(鮮卑族)에게 빼앗긴 이 땅에 한족의 천하를 회복하겠다는 큰 뜻을 품고 때가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던 참에 선제가 죽은 것이다.

양견에게는 독고씨(獨孤氏)라는 아내가 있었다. 독고씨는 남자보다 기승스럽고 남보다 갑절 영리했다. 남편의 정무에 대해서도 좋은 의견을 말하여 정치가 잘 되어 나가도록 배려했다. 그것도 마누라가 참견했다고 남들이 알면 남편의 체면이 떨어질까 봐 궁정의 관원을 통해 간접적으로 진언했다.

양견이 궁중에서 모반을 꾀하고 있을 때 이미 양견의 뜻을 알고 있는 아내 독고씨로부터 전간(傳簡)이 왔다.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기세이므로 도중에서 내릴 수 없는 일입니다[騎虎之勢 不得下].'만약 도중에서 내리면 잡혀 먹히고 말 것입니다. 그러니 호랑이와 끝까지 가지 않으면 안 됩니다. 부디 목적을 달성하시오소서."

독고씨는 남편이 막대한 권력을 장악한 지금이야말로 북주를 쓰러뜨리고 황제의 자리를 빼앗을 기회라고 보았던 것이다. 그리고 그 정세를 '騎虎之勢'에 비유하여 남편을 부추겼다.

이에 용기를 얻은 양견은 선제의 뒤를 이어 즉위한 나이 어린 정제(靜帝)를 폐하고 스스로 제위(帝位)에 올라 문제(文帝)라 일컫고 국호를 수(隋)라고 했다. 그로부터 8년 후인 589년, 문제는 남조(南朝) 최후의 왕조인 진(陳:557∼589)나라마저 멸하고 마침내 천하를 통일했다.

[유사어]기호난하(騎虎難下) [출전] 《隋書》《獨孤傳》

역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