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사성어

伯樂一顧(백락일고)

伯:맏 백, 樂:즐거울 락, 一:한 일, 顧:돌아볼 고

백락이 말을 한번 뒤돌아다 봄, 현자에게 능력을 인정 받음

화씨벽(和氏璧)은 중국에서 국보중의 국보로 여겨 왔던 구슬이다. 변화(卞和)가 형산(荊山)에서 주울 때는 평범한 바윗돌 같았다. 이 때문에 王에게 바쳤다가 미치광이 취급을 받고 두 발을 잘려야 했다.

세상에 千里馬는 꽤 있었다. 주목왕(周穆王)의 팔준마(八駿馬)나 項羽의 오추마(烏騶馬), 여포(呂布)의 적토마(赤兎馬)가 그것이다. 그러나 千里馬는 그것을 알아 보는 사람이 있었기에 世上에 나타날 수 있었다. 그렇지 않았던들 아마 수레나 끌면서 마굿간에서 一生을 마쳤을런지도 모른다.

주(周)나라의 백락(伯樂-본명 孫陽)은 말을 알아 보는 名手였다. 하루는 길을 가다 소금 수레를 끌고 가는 말을 만났다. 伯樂은 통탄했다. 용장을 태우고 천하를 누벼도 시원치 않을 千里馬가 일개 필부(匹夫)의 수레를 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참고:기복염거(驥服鹽車)]

어느날 名馬를 가진 사람이 伯樂을 찾아왔다. 팔려고 내놓았지만 누구 하나 거들떠 보는 사람이 없다면서 감정을 의뢰하는 것이었다. 伯樂이 말을 저자거리로 끌고 나와 찬찬히 뜯어 보았다. 과연 名馬가 틀림 없었다.

날이 저물어 돌아오면서도 몇 번이고 뒤돌아 보았다. 그러자 그 말의 값은 순식간에 열 배로 뛰어 올랐다. 그래서 사람들은 말한다. "伯樂이 있고 나서 千里馬가 있게 되었다."

이때부터 영웅호걸을 千里馬에, 명군현상(名君賢相)을 伯樂에 비유하곤 한다. 아무리 훌륭한 이재도 그를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지 못하면 재능을 발휘할 수 없다는 뜻이다.

[주]백락 : 본명은 손양(孫陽). 백락은 원래 天馬를 맡은 별의 이름이었는데, 당시 사람들은 손양이 말을 잘 감정하여 백락이라고 하였다.

역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