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의학지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의학은 빠르게 변화하는 학문으로 아래의 내용은 최신의 정보가 아닐 수 있으며, 따라서 글을 읽는 시점에는 정확한 내용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이 내용에 따라 스스로 질병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려 하지 마십시오. 질병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필수적입니다. 이 내용은 의학적 상식을 넓히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십시오.

폐암 (Lung Cancer)

폐암은 폐에 생기는 악성종양(암)을 말하며, 폐를 구성하는 조직에서 종양이 일차적으로 발생한 “원발성 폐암”과 폐가 아닌 다른 장기에서 종양이 발생하여 혈관이나 림프관을 타고 폐로 이동해 증식하는 “전이성 폐암”으로 나눌 수 있다.

종류

폐암은 암세포의 크기와 형태 등 병리조직학적 기준에 따라 소세포(小細胞) 폐암과 비(非)소세포 폐암으로 나뉩니다. 현미경으로 확인되는 암세포의 크기가 작은 것은 한자의 ‘작을 소(小)’ 자를 써서 소세포 폐암이라 하고, 작지 않은 것은 비소세포 폐암이라 한다(흔히 소세포암, 비소세포암으로 줄여서 말한다). 발생하는 폐암의 80~85%를 차지하는 비소세포암은 다시 편평상피세포암, 선암, 대세포암, 선(腺)편평세포암, 육종양암, 카르시노이드 종양, 침샘형암, 미분류암 등으로 나뉩니다. 이들 각각의 암종은 종양 세포의 모양과 배열 등 형태학적 특징에 따라 더 세분되는데, 예컨대 선암은 세엽선암, 유두선암, 세기관지 폐포암, 점액형성 충실성 선암 등으로 구분된다. 폐암은 조직학적 모양에 따라 크게 “소세포폐암(small cell lung cancer: 20%))”과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80%)”으로 분류하며, 비소세포폐암은 다시 “선암(adenocarcinoma: 40%)”, “편평상피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 30%)”, “대세포암(large cell carcinoma: 15%)” 등으로 구분한다.

소세포폐암은 폐암 환자의 약 15~25%에서 발생하며, 전반적으로 악성도가 강하여 발견 당시 다른 장기등에 전이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주로 흡연량이 많은 사람과 관련되어 있다. 비소세포폐암은 조기에 진단시 수술적 치료를 통하여 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

비소세포암과 소세포암을 구분하는 것은 임상적 경과와 치료가 다르기 때문이다. 비소세포암은 조기에 진단하여 수술적 치료를 하면 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소세포암은 대부분이 진단 당시에 수술적 절제가 어려울 정도로 진행돼 있는 경우가 많으며, 급속히 성장하여 전신 전이가 되곤 한다. 하지만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에는 잘 반응한다

일반적으로 편평상피세포암의 경우 흡연과 관계가 높은 반면 선암은 상대적으로 흡연과 연관성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非)소세포 폐암(non-small-cell lung carcinoma)

편평상피세포암(扁平上皮細胞癌)

이 암은 폐의 기관지 점막을 구성하는 편평상피세포가 변성해서 생긴다. 편평상피란 엷고 평탄한 형태를 지닌 상피를 총칭하는 말이며, 상피란 몸 바깥 표면의 세포층과, 체강(체벽과 내장 사이의 공간) 및 위장관의 내부 표면을 싸고 있는 세포층을 가리킵니다. 편평상피세포암은 주로 폐 중심부에서 발견되며, 남자에게 흔하고 흡연과 관련이 많다. 기침, 객혈, 쌕쌕거리는 숨소리 등의 주된 증상은 종양이 주로 기관지를 막기 때문에 나타난다. 편평상피세포암종 - 주로 큰 기관지에서 발생하여 기관지 내강으로 자란다

선암(腺癌)

선암(샘암)이란 특정 물질의 분비를 주된 가능으로 하는 인체의 선세포(腺細胞, 샘세포)에 생기는 암을 두루 이르는 말이다. 폐의 선암은 폐암 종류 가운데서 발생 빈도가 가장 높다. 폐 말초 부위에서 잘 생기고, 여성이나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도 걸리며, 크기가 작아도 전이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최근 들어 발생 빈도가 더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는데, 이는 담배에 함유된 타르 양의 변화, 흡연 습관, 흡연량, 식생활 변화 및 환경적•작업적 요인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다. 선암은 주로 기관지의 말단부에 생기므로 흉부 엑스선 사진에서 조그마한 폐결절이나 폐렴 같은 경화(硬化) 소견(음영)을 보이기도 한다. 선암종 - 폐암 가운데 크기가 비교적 작은 세기관지 상피에서 발생

대세포암(大細胞癌)

폐암의 4~10% 정도를 차지하는 대세포암은 폐 표면 근처(폐 말초)에서 주로 발생하며, 절반 정도는 큰 기관지에 생긴다. 암세포가 대체적으로 크며, 그 일부는 빠르게 증식•전이하는 경향이 있어서 다른 비소세포 폐암들보다 예후가 나쁜 편이다. 대세포암종 - 폐표면 근처(폐말초)에 주로 발생하고, 절반 가량이 큰 기관지에서 발생

소세포 폐암(small-cell lung carcinoma)

진단되는 폐암의 15~25%가 소세포암인데, 전반적으로 악성도가 강해서 발견 당시에 이미 림프나 혈액의 순환을 통해 다른 장기나 반대편 폐, 혹은 종격동(縱隔洞)으로 전이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주로 폐 중심부의 기도(기관지나 세기관지)에서 처음 발병한다(종격동은 ‘종격, 세로칸, 가슴세로칸’이라고도 하며, 좌우의 폐를 각기 둘러싼 가슴막 사이의 부분으로, 앞쪽은 흉골 즉 복장뼈에, 뒤쪽은 척추에, 아래쪽은 횡격막에 접해 있다). 소세포 폐암은 급속히 성장하고, 대체로 암 덩이(종괴)가 크며 회백색을 띠고, 기관지 벽을 따라 증식하는 수가 많다. 잘 전이되는 장기로는 뇌, 간, 전신 뼈, 같은 쪽 또는 다른 쪽 폐, 부신, 신장 등의 순이다. 소세포 폐암 환자의 대부분은 흡연량이 많은 사람들이다. 소세포암종 - 폐 중심부의 큰 기관지에서 발생

원인

폐암의 가장 흔한 원인은 흡연이다. 그 외 다른 원인으로는 유전적 소인, 방사선, 석면, 공해, 간접흡연, 바이러스 등이 있다. 참고로, 폐암 환자의 약 15%는 비흡연자이다.

증상 및 징후

폐암의 가장 흔한 증상은 호흡곤란, 기침, 혈담, 체중감소이다. 다른 증상으로는 흉통, 숨쉴 때 쌕쌕거림, 피로, 식욕감소, 목쉼, 연하곤란 등이 있을 수 있다. 폐암이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 전이된 장기에 따라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면 폐암의 뇌전이 환자는 두통, 어지러움, 보행실조 등이 나타나고, 뼈로 전이된 경우 뼈에 통증이 심할 수 있으며, 척추에 전이된 경우 갑작스런 하지마비가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이 이미 나타난 경우에는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폐암도 이미 진행된 경우가 많다. 그러나, 폐암 환자의 대다수가 증상 없이 건강 검진이나 다른 병의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가장 많으므로,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인 검진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직업성 폐암

직업성 암은 직업적으로 발암물질에 노출되거나 현재까지 확실한 발암물질을 확인하지는 못하였지만 특정 직업군이나 산업에서 증가하는 암으로 정의할 수 있다. 직업성 암을 장기별로 분류하면 호흡기계 암, 림프조혈계 암, 방광암, 간암, 갑상선암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호흡기계 암의 하나인 폐암이 가장 많다. 폐암의 발생에서 직업적 요인이 차지하는 분율은 약 7%로 보고하고 있다.

직업성 폐암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작업장에서 노출되는 모든 화학물질이 암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국내에서 확인 된 직업성 발암물질은 아래의 표와 같이 14항목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노동부에서는 직업성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된 물질의 제조나 사용을 금지하거나, 이를 불가피하게 사용해야 할 경우 당국의 허가를 받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직업성 폐암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물질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의 연구발표에 따르면 인체에서 발암성이 확실한 폐암 발암물질로는 흡연, 비소 및 그 화합물, 석면, 라돈 붕괴물질, 니켈 화합물, 6가 크롬, 베릴륨과 그 화합물, 결정형 유리규산 등이다.

비흡연자 폐암

폐암의 주 원인은 흡연이다. 그러나 폐암 환자의 약 15%는 비흡연자로 보고되고 있다. 미국의 한 연구에 의하면 흡연자의 폐암 발생률은 남녀가 비슷했지만 비흡연자의 폐암 발생률은 여성이 남성보다 1.3배 더 높다고 보고하였다. 국내의 2005년 폐암환자 등록 자료를 보면 비흡연자는 전체 폐암환자의 28.9%였으며, 여성 폐암의 79.7%, 남성 폐암의 12.3%가 비흡연자였다. 비흡연자 폐암은 흡연자 폐암과는 다른 임상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즉 더 젊은 나이에 발생하며 여성에서 흔하고 예후는 흡연자 폐암에 비하여 더 좋은 편이다. 비흡연자의 폐암의 원인으로는 실내외 공기 오염, 음식, 과거 폐질환, 가정내 라돈, 간접 흡연, 신체적 비활동, 직업과의 관련성 등이 보고 되었으며, 가족력과 유전적 경향 등이 보고되고 있다

병기

암이 진행된 정도 혹은 단계를 병기(病期, stage)라고 한다. 암세포는 림프나 혈액의 흐름을 타고 몸의 다른 부위로 옮겨 간다. 우선 주변의 림프절로 전이되고, 이어 뼈나 뇌, 간, 부신, 신장, 심장 등의 장기로 전이가 일어나며, 몸 전체로 확산될 수도 있다. 정확한 조직 진단을 통해 병기를 판정한 뒤에 해당 병기에 적절한 치료법을 택하게 된다. 비소세포 폐암은 TNM 분류법(TNM classification)으로 병기를 정한다. T(tumor, 종양)는 원발(原發) 종양의 크기와 침윤 정도를 나타내고, N(node, 림프절)은 주위 림프절로 퍼진 정도를, M(metastasis, 전이)은 다른 장기로의 전이(원격전이) 여부를 나타냅니다. 이들 세 요소를 조합하여 비소세포암의 병기를 1~4기로 구분하는데, 소세포암은 급속히 성장하여 조기에 전이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제한성 병기와 확장성 병기로만 나눕니다. 폐암의 병기 구분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폐암 환자의 운동요법

폐암 환자가 운동을 하면 안 되는 이유가 있지 않은 한, 적당한 운동을 하는 것이 폐기능 향상 및 신체 항상성 유지에 도움이 된다. 주 3회 이상 하루 30분 이상 걷는 것이 좋으며, 상체 운동도 폐기능 유지에 도움이 된다. 수술 전 심호흡, 기침 및 유산소 운동 등을 하고, 스파이로볼(spiro ball)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힘껏 숨을 내쉬는 연습을 하면 폐기능 향상과 수술 후 회복에 많은 도움이 된다.

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경우

호흡운동과 팔 운동이 필요하고 병실 복도를 걷는다든가, 가끔 산책을 하는 것이 좋다.

퇴원 후

초기에는 집 가까운 곳으로 산책을 나가는 정도의 운동을 하다가, 점차 가벼운 등산 등을 하면 폐기능이 호전되고 정신적으로도 도움이 된다.

수술 후

가벼운 운동은 수술 후 회복에 도움을 준다. 처음 1달 정도는 아침 저녁 일정하게 30분~1시간씩 가볍게 걷는 것이 좋다. 수영이나 자전거, 등산, 골프 등의 가벼운 운동을 그 다음 단계에서 할 수 있고, 3개월 이후에는 본인이 즐기던 어떤 운동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수술한 쪽 어깨 들기, 수술한 쪽 손으로 반대편 귀잡기, 깍지 껴서 머리에 손 얹기 등의 간단한 운동을 통해 수술 부위의 근육을 강화하도록 해야 한다.

수술 후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 중

가벼운 산책 및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폐암 환자의 식이요법

폐암 환자라면 규칙적인 식사와 편식을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한다. 폐암에 좋다고 밝혀진 건강보조식품은 없으므로, 성분을 잘 알 수 없는 식품을 복용하는 것은 치료에 방해가 될 수 있다. 항산화제로 알려진 비타민 C, 카로틴 등이 풍부한 과일, 채소, 고구마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고 적당한 단백질 섭취는 치료 후 회복에 많은 도움이 된다.

  • 인삼, 보약(한약), 비타민제, 영양제, 알부민 주사, 민간요법 중 어떤 것도 폐암을 치료하거나 폐암 진행을 막는다고 증명된 것은 없다. 인삼이나 보약(한약) 등은 정제된 성분이 아니라서, 약물을 대사시키는 간 또는 신장에 부담을 주어 독성간염이나 신장기능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간기능 장애나 신장기능 장애는 항암치료나 수술 전 마취를 방해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비타민제 중 수용성비타민인 비타민 B, C는 하루 필요량 이상을 섭취할 경우 소변으로 빠져 나가므로, 과잉 섭취할 필요는 없다. 지용성비타민인 비타민 A, E는 몸 안에 축적되어 비타민과잉증을 일으키게 되므로, 지나치게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다. 알부민 주사는 우리 간에서 만들어지는 알부민의 혈액 내 양이 감소할 경우 필요하지만, 혈액 내 알부민 농도가 정상이라면 필요하지 않는다.
  • 암 환자가 고기를 먹으면 암이 더 커진다고 고기를 먹지 않으려는 환자나 고기를 먹지 못하도록 하는 가족이 있는데, 단백질은 필수영양소로 기본대사를 유지하고 암과 싸울 세포에게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고기 섭취가 반드시 필요한다. 그러나, 고기만 먹는 경우 단백질 외에 지방 섭취가 증가하여 몸에 좋지 않은 산화물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풍부한 항산화 성분을 포함하는 채소와 야채를 함께 섭취하여야 한다.
  • 폐암 환자의 치료에 가장 중요한 사항은 흡연자의 경우 무조건 담배를 끊고 금주를 하여야 한다는 점 이다. 최소한 15일 금연 후에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제 치료를 하여야 합병증 발생을 줄일 수 있다.

폐암 환자의 식이요법의 식사효과는 환자는 암 질환과 암의 치료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최상의 기회를 얻게 된다, 항암 치료로 손상된 세포를 빨리 재생시킬 수 있다, 감염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치료 중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더 잘 극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니까 식사는 꼭 해야해요~

* 아침, 점심, 저녁을 규칙적으로 하고, 반찬은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좋다.

  • 밥은 매끼 1/2~1그릇 정도로 하고, 간식으로 빵류와 크래커, 떡 등을 조금씩 드시되, 죽인 경우에는 하루 4~5번 이상 자주 드시는 것이 좋다.
  • 매끼 단백질 반찬을 꼭, 충분히 섭취하고, 고기나 생선이 싫다면 대신 계란, 두부, 콩, 치즈 등을 드셔도 된다.
  • 채소 반찬은 매끼 2가지 이상 충분히 섭취하고, 씹기 힘든 경우나 삼키기 힘든 경우에는 다지거나 갈아서 드시도록 한다.
  • 한 가지 이상의 과일을 하루 1~2번 정도 드시는 것이 좋다.
  • 우유 및 유제품은 하루 1개(200ml) 이상 드시고, 우유가 맞지 않은 경우엔 요구르트, 두유, 치즈 등을 대신 드셔도 된다.
  • 식용유, 참기름, 버터 등의 기름은 볶음이나 나물을 만들 때 양념으로 충분히 사용한다.
  • 양념과 조미료는 적당히 사용하되 맵고 짜지 않게 요리하도록 한다.
  • 국, 음료, 후식은 적당히 드시는 것이 좋다.

폐암 환자가 꼭 주의할 사항

  • 폐암 환자가 흡연자라면 금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다. 폐암이 이미 생겼다고 금연하지 않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를 수 있다.
  • 술을 마시는 것은 수술 후 상처치유를 지연시킬 수 있고, 항암치료나 방사선치료 중이라면 면역력을 떨어뜨려 폐렴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 암이라고 진단 받으면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으로 주변에서 몸에 좋다는 온갖 것에 마음이 끌릴 수 있고 이런 점을 노리는 사기꾼이나 장사꾼도 많이 있다. 증명되지 않은 영양제나 건강식품, 한약 등은 치료과정에 간독성, 신장독성 등 다른 문제를 야기시켜 심한 경우 치료를 못 받거나 치료시기를 연기해야 할 수 있다. 꼭 주치의와 상의하기 바란다.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