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의학지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의학은 빠르게 변화하는 학문으로 아래의 내용은 최신의 정보가 아닐 수 있으며, 따라서 글을 읽는 시점에는 정확한 내용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이 내용에 따라 스스로 질병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려 하지 마십시오. 질병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필수적입니다. 이 내용은 의학적 상식을 넓히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십시오.

S단백 (Protein S)

정상적으로 적은 양 C단백과 S 단백이 이 혈중에 존재하고, 과도한 혈액 응고를 막는 역할을 함. 혈관이나 조직이 손상을 입었을 때, 인체에서는 응고연쇄반응이 시작되고 순서대로 20개 이상의 단백질 인자들을 활성화 시켜 안정적인 혈액응괴를 형성함. 이러한 응괴는 손상된 부위가 회복될 때까지 추가적인 혈액 손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 그러나, 일단 더 이상 필요 없어지면, 다른 인자들이 응고를 중지 시키고 응괴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트롬빈은 자신의 활성화를 촉진시키거나 억제시킴에 따라 혈액 응괴의 형성을 가속화하거나 감속시킬 수 있는 응고인자임. 트롬빈은 응고과정의 속도를 줄이기 위하여 C 단백과 S 단백을 이용하여 되먹임 고리를 형성함. 트롬빈은 첫 번째로 트롬보모둘린이라는 단백질과 결합하며 이후 C 단백을 활성화 시킨다.

Protein S Deficiency

Protein S(이하 P S )는 혈장에 존재하며 활성화된 protein C가 혈액응고인자 V a와 V I I I a를 파괴하는 작용 을 증강시키는 보조인자로서 혈액응고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

s단백 결핍증은 지혈에 문제가 있는 질병이다. 비정상 혈전이 발생하는 빈도가 증가한다.

s단백은 체내에서는 유리형과 결합형으로 존재하는데 40%의 유리형이 항(抗)응고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deep_vein_thrombosis 폐색전증 (Pulmonary Embolism)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증상

평균적으로 첫 혈전증의 발생은 약 28세경에 발생하며 심부정맥혈전증, 표재성 혈전정맥염, 폐동맥 색전증 등으로 나타난다.

경증

deep_vein_thrombosis의 위험이 있다. 이 경우 발생된 정맥혈전이 이동하여 폐의 혈관을 막음으로써 폐색전증 (Pulmonary Embolism)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합병증은 나이, 수술, 운동부족, 임신 등에 의해 증가할 수 있다. 이 외에 다른 유전적인 혈액질환과 같이 발생하였을 때에도 위험성이 증가한다.

하지만, 경증의 질환이 있는 많은 사람들은 아무런 혈액응고현상 없이 잘 지내기도 한다.

중증

중증의 경우, 신생아 때부터 생명에 위협을 줄만한 혈액응고질환(purpura_fulminans)가 발생하기도한다. purpura_fulminans는 온몸의 작은 혈관들이 혈전으로 막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혈전들은 혈류를 방해하여 몸의 조직들이 죽도록 (괴사) 한다. 광범위한 혈전이 사용가능한 모든 혈액응고인자들을 소모하게되면, 결과적으로 몸의 곳곳에서 출혈성 반점과 멍이 나타나게 된다.

신생아시기를 넘겼다고 하더라도 그 이후에 다시 발병할 수도 있다.

경증의 S단백결핍은 약 500명 중 1명에서 발생하며, 중증은 더 드물다. 하지만, 정확한 빈도는 알려져있지 않다. 약 20,000명중 한명에서 발생한다는 연구가 있다.

원인

PROS1 유전자의 변이가 원인이다. 이 유전자는 S단백을 합성하는데 관여하며, S단백은 혈액내에 존재하며, 혈액응고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것은 다른 응고인자의 활동을 막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유전자변이는 S단백의 단일 단백질 단위를 변형시킨다. 이러한 조건에 있는 사람들은 응고인자를 비활성화 시키는데 충분한 S단백을 가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비정상 혈액응고현상의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PROS1 유전자의 변이가 S단백에 영향을 주는 형태에 따라 1,2,3형으로 나뉜다.

  • Type I - decreased protein S activity: decreased total protein S (=both bound and free protein S) levels AND decreased free protein S levels (quantitative defect)
  • Type II - decreased protein S activity: normal free protein S levels AND normal total protein S levels (qualitative defect)
  • Type III - decreased protein S activity: decreased free protein S levels AND normal total protein S levels (quantitative defect)

유전

상색체 우성으로 유전된다. 변이된 하나의 PROS1 유전자만 있어도 경증이 발생하며, 두 유전자가 모두 변이 되었을 경우 중증이 된다.

치료

치료는 환자의 혈전형성의 위험성에 따라 결정된다.

정맥혈전이 있는 환자는 항혈전치료를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3-6개월.

  1. heparin
  2. warfarin
  3. low-molecular-weight heparins.

여러번의 thromboembolic episodes가 있거나 고위험인 경우에는 와파린을 이용한 장기간의 경구제제 치료가 사용된다.

S단백결핍증은 혈전증의 재발의 위험성이 높다고 알려져있기 때문에 장기간의 항혈전치료가 권장된다.

장기간의 항혈전치료시 매년 약 3%에서 심한 출혈이 발생할 수 있고, 이들중 약 1/5에서는 치명적일 수 있다.

장기 항혈전치료는 환자 개개인의 출혈위험성과 혈전형성 위험성을 종합하여 결정하게 된다.

치명적인 혈전증이 발생할 경우 신선동결혈장( frozen plasma;FFP)이 도움이 될 수 있다. protein C 와 antithrombin과 달리 S단백은 임상적으로 사용가능한 제제가 없다.

역링크